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03

<논어 자로편 제22장>13-22-01子曰,“南人有言曰,‘人而無恆,不可以作巫醫.’善夫!” 13-22-01子曰,“南人有言曰,‘人而無恆,不可以作巫醫.’善夫!”子ㅣ 曰南人이 有言曰人而無恒이면 공자 가라사대 남인이 말을 두어 가로대 사람이며 항상함이 없으면 不可以作巫醫라 하니 善夫ㅣ라가히 써 무당와 의원을 짓지 못한다 하니 선하다(옳도다). 󰃨南人南國之人恒常久也巫所以交鬼神醫所以寄死生故雖賤役而尤不可以無常孔子稱其言而善之南人은 南國之人이라 恒은 常久也ㅣ라 巫는 所以交鬼神이오 醫는 所以寄死生이라 남인은 남국 사람이라. 항은 항상 오래함이라. 무당은 써 귀신과 사귀는 것이오, 의원은 사생이 붙어있는 바라.  故로 雖賤役이나 而尤不可以無常이니 孔子稱其言而善之시니라그러므로 비록 천한 일이나 더욱 가히 써 떳떳함이 없지 않을지니 공자가 그 말을 일컬으며 선하다고 하시니라. 13-22-02“不恆其德,或承之羞.” .. 2025. 1. 5.
<논어 자로편 제21장>13-21-01子曰,“不得中行而與之,必也狂狷乎!狂者進取,狷者有所不爲 也.” 13-21-01子曰,“不得中行而與之,必也狂狷乎!狂者進取,狷者有所不爲 也.”子ㅣ 曰不得中行而與之댄 必也狂狷乎저공자 가라사대 중도를 행하는 일을 얻어서 더불지 못할진댄 반드시 광(뜻이 높음)과 견(고집스러움)인저.  狂者는 進取오 狷者는 有所不爲也ㅣ니라광한 자는 진취성이 있고 고집스런 자는 하지 못하는 바가 있느니라. [본문 해설]공자는 중도를 행하는 제자를 얻고 싶었는데 그러한 제자를 얻지 못하였다. 그럴 바에는 차라리 미치광이와 고집스러운 자를 얻어 가르치는 것이 보통 사람보다 더 낫다고 생각하였다. 여기서 미치광이란 정말 미친 사람이 아니라 남들이 보기에는 미친 사람 같지만 뜻이 고상하여 특이한 일을 잘 하려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고, 고집스럽다는 것은 사람이 융통성이 없는 것 같지만 지킬 것은 꼭 지키.. 2025. 1. 5.
<논어 자로편 제20장>13-20-01子貢問曰,“何如斯可謂之士矣?”子曰,“行己有恥,使於四方, 不辱君命,可謂士矣.” 13-20-01子貢問曰,“何如斯可謂之士矣?”子曰,“行己有恥,使於四方, 不辱君命,可謂士矣.”子貢이 問曰何如ㅣ라야 斯可謂之士矣잇고 子ㅣ 曰行己有恥하며 使於四方하야 不辱君命이면 可謂士矣니라 자공이 묻자와 가로대 어찌하여야 이 가히 선비라 이르니잇고? 공자 가라사대 몸을 행함에 부끄러움을 두며(늘 부끄럽게 생각하며) 사방에 부려서(사방에 외교에 나서서) 인군의 명을 욕되게 아니하면 가히 선비라 이르니라. 使 : 여기서는 ‘부릴 시’ 󰃨此其志有所不爲而其材足以有爲者也子貢能言故以使事告之蓋爲使之難不獨貴於能言而已此其志ㅣ 有所不爲而其材ㅣ 足以有爲者也ㅣ라 이것은 그 뜻이 하지 못할 바가 있음이오(行己有恥, 마음가짐 곧 내적인 것)) 그 재목이 족히 써 하옴이 있음이라(不辱君命, 재목이 늠름하여 외교를 잘하는 것).  子貢.. 2025. 1. 4.
<논어 자로편 제19장>13-19-01樊遲問仁.子曰,“居處恭,執事敬,與人忠.雖之夷狄,不可棄也.” 13-19-01樊遲問仁.子曰,“居處恭,執事敬,與人忠.雖之夷狄,不可棄也.”樊遲ㅣ 問仁한대 子ㅣ 曰居處恭하며 執事敬하며 與人忠을 雖之夷狄이라도 不可棄也ㅣ니라 번지가 인을 묻자온대 공자 가라사대 거처에 공순하며 일을 잡음이 공경하며 사람과 더불음에 충성함을 비록 이적에 가더라도 가히 버리지 못할지니라. 󰃨恭主容敬主事恭見於外敬主乎中之夷狄不可棄勉其固守而勿失也○程子曰此是徹上徹下語聖人初無二語也充之則睟面盎背推而達之則篤恭而天下平矣胡氏曰樊遲問仁者三此最先先難次之愛人其最後乎恭은 主容이오 敬은 主事니 恭見於外요 敬主乎中하니 之夷狄이라도 不可棄는 勉其固守而勿失也ㅣ라 공은 주로 용모요, 경은 주로 일이니, 공은 밖에 나타나는 것이오, 경은 안에서 주장하는 것이니, 이적을(어디를) 가더라도 가히 버리지 못한다는 것은 그 굳게 지킴.. 2025.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