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15

어머니의 훈육 💙어머니의 훈육  《조선 영조 때 대학자 이재(李縡) 어머니의 훈육​》  ​조선 영조 때의 이름난 학자 이재(李縡)는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에게서 양육을 받으며 자라났다. ​그가 12세가 되던 해 어머니는 그를 데리고 작은 아버지이자 당대의 정치가인 이만성을 찾아갔다. ​"아버지 없이 자라는 까닭에 이 아이의 앞날이 잘못될까 걱정이 됩니다. 이 아이를 맡아 가르쳐 주십시오." 그러나 작은 아버지는 괜히 귀한 집 아들에게 매를 들어 안 좋은 일이 생길까봐 거절했으나, 어머니는 끝까지 맡아줄 것을 간곡하게 부탁하였다.  ​결국, 그날 이후로 이재는 작은 아버지의 집에 기거하며 가르침을 받게 되었다. ​며칠 뒤 이만성이 형수, 즉 이재의 어머니를 찾아와 무릎을 꿇었다."형수님, 용서해 주십시오.이 .. 2025. 4. 7.
💙녹명(鹿鳴) 💙녹명(鹿鳴)>  사슴은 먹이를 발견하면먼저 목 놓아 운다.먹이를 발견한 사슴이 다른 배고픈 동료 사슴들을 불러 먹이를 나눠 먹기위해 내는 울음소리를' 녹명' 이라 한다.수많은 동물 중에서 사슴만이 먹이를 발견하면 함께 먹자고 동료를 부르기 위해 운다고 한다.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이 울음소리를 당신은 들어 본적 있는가?여느 짐승들은 먹이를 발견하면 혼자 먹고 남는 것은 숨기기 급급한데, 사슴은 오히려 울음소리를 높여 함께 나눈다는 것이다.‘녹명’은 중국의 시경(詩經)에도 등장한다.사슴 무리가 평화롭게 울며 풀을 뜯는 풍경을 어진 신하들과 임금이 함께 어울리는 것에 비유했다.‘녹명’ 에는 홀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살고자 하는 마음이 담겨있다.부모는 자식을 위해 목숨까지 바쳐 사랑했는데, 그 형제끼리.. 2025. 4. 1.
♣예술과 우정 (음악)- ♣예술과 우정 (음악)- 고관 백아와 나뭇꾼의 종자기의 고향 친구이자 의형제거문고의 줄을 끊었다고 하는 백아절현高山流水란 말을 만들었다는 이들의 브로맨스 伯牙絶絃이란 말의 의미는 직역을 하면 ❝兪伯牙가 현악기(琴)의 줄을 끊다❞이다 숨은 뜻은 ❝진실한 벗의 죽음을 슬퍼함❞이다 춘추전국시대, 백아 앞에서 귀를 기울이는 청중이 수천 수만이어도 단 한 사람, 오직 한 사람의 귓바퀴로 흘러 들어갈 음만을 백아는 고르고 또 그르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백아가 휘영청 밝은 달빛을 바라보며 거문고를 연주하자 놀랍게도 고향친구인 鍾子期가 자신의 가락을 이해해 주는 知音의 경지에 이른 자임을 알게 된다. 이에 고관의 자리에 있었던 백아는 나뭇꾼인 종자기와 의형제를 맺는다 목적지가 정해진 기차처럼, 백아의 관심은 종착지인 종.. 2025. 3. 18.
◇운명과 숙명◇ ◇운명과 숙명◇ 우스갯소리로 앞에서 날아오는 돌은 운명이요,뒤에서 날아오는 돌은 숙명이라는 말이 있다.  돌이 앞에서 날아오면 피하거나 피하려는노력이라도 할 수 있지만, 뒤에서 날아오는돌은 그대로 맞아야 한다. 운명보다 피하기 힘든 것이 숙명이라는 뜻이다. 예컨대,어린 나이에 부모를 여의는 일은 누구에게나 큰 시련이다.  시련이 숙명이라면 시련을 대하는 태도는 운명을 좌우한다. 같은 일을 겪고도 성실과 노력으로극복하는 사람이 있고,환경을 탓하며 허랑방탕한 생활을 하는 사람도 있다. 사람은 늘 앞날을 궁금해한다.  토정비결을 펼쳐놓고점을 보거나 사주팔자를 풀어인생이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가를 헤아려보기도 한다. 풍수지리를 믿고 인테리어를 바꾸거나조상의 묘를 좋은 곳에 쓰기도 한다.  인류의 운명을 바꿀 정.. 2025.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