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05

<논어 자로편 제4장>13-04-01樊遲請學稼.子曰,“吾不如老農.”請學爲圃.曰,“吾不如老 圃.” 13-04-01樊遲請學稼.子曰,“吾不如老農.”請學爲圃.曰,“吾不如老 圃.”樊遲ㅣ 請學稼한대 子ㅣ 曰吾不如老農호라 번지가 농사 배우기를 청한대, 공자 가라사대 내가 늙은 농부만 같지 못하니라.請學爲圃한대 曰吾不如老圃호라포전함을 배우기를 청한대 가라사대 내 노포만 같지 못하니라.樊:새장 번, 遲:더딜 지. 圃:채마밭 포.  󰃨種五穀曰稼種蔬菜曰圃種五穀曰稼요 種蔬菜曰圃라오곡을 심는 것을 일러 가라 하고 소채를 심는 것을 일러 포라. 13-04-02樊遲出.子曰,“小人哉,樊須也!樊遲ㅣ 出커늘 子ㅣ 曰小人哉라 樊須也ㅣ여 번지가 나가거늘, 공자 가라사대 소인이라 번수여. 󰃨小人謂細民孟子所爲小人之事者也 小人은 謂細民이니 孟子所謂小人之事者也ㅣ라소인은 미세한 백성을 이름이니 맹자(등문공상편 제4장)가 이른바 소인의 일이.. 2025. 1. 1.
<논어 자로편 제3장>13-03-01子路曰,“衛君待子而爲政,子將奚先?” 13-03-01子路曰,“衛君待子而爲政,子將奚先?”子路ㅣ 曰衛君이 待子而爲政하시나니 子將奚先이시리잇고자로 가로대 위나라 인군이 선생님을 기다려 정치를 하려 하시나니 선생님께서는 장차 무엇을 먼저 하시리잇고? 󰃨衛君謂出公輒也是時魯哀公之十年孔子自楚反乎衛衛君謂出公輒也ㅣ라 是時에 魯哀公之十年에 孔子ㅣ 自楚反乎衛하시니라위군은 출공첩이라. 이때에 노나라 애공 10년에 공자가 초나라로부터 위나라로 돌아오셨느니라. 輒홀연이첩 번번이첩 발병들첩(足) 오로지첩출공첩은 祖父 靈公의 遺命으로 즉위했지만 이국에 망명한 아버지가 즉위를 위해 동아오려고 하는 것을 거역하여 내란의 상태에 이름 아버지가 성공했으나 뒤에 뺏김 공자가 떠나면서 백이 숙제를 교훈삼으라함 아무리 할아버지의 유언이라 하나 서열이 중요 13-03-02子曰,“必.. 2025. 1. 1.
<논어 자로편 제2장>13-02-01仲弓爲季氏宰,問政.子曰,“先有司,赦小過,擧賢才.” 13-02-01仲弓爲季氏宰,問政.子曰,“先有司,赦小過,擧賢才.”仲弓이 爲季氏宰라 問政한대 子ㅣ 曰先有司ㅣ오 赦小過하며 擧賢才니라중궁이 계씨의 재상이 되었느니라. 정사를 묻자온대 공자 가라사대 유사에게 먼저 하고 작은 허물을 용서하며 어질고 재주있는 이를 천거할지니라. 󰃨有司衆職也宰兼衆職然事必先之於彼而後考其成功則己不勞而事畢擧矣過失誤也大者於事或有所害不得不懲小者赦之則刑不濫而人心悅矣賢有德者才有能者擧而用之則有司皆得其人而政益修矣有司는 衆職也ㅣ라 宰兼衆職이나 然이나 事必先之於彼하고 而後考其成功이면 則己不勞而事必擧矣라 유사는 여러 직책이라. 재상은 여러 직책을 겸했으나 그러나 일은 반드시 저에 먼저하고(유사들에게 먼저 시켜서 하게 하고) 뒤에 그 성공을 상고하면 내가 수고롭지 않으면서도 일이 반드시 거행되니라.  過.. 2025. 1. 1.
<논어 자로편 제1장>13-01-01子路問政.子曰,“先之勞之.” 子路第十三-전반부는 정치 후반부는 성인군자에 대한 문답 凡三十章 13-01-01子路問政.子曰,“先之勞之.”子路ㅣ 問政한대 子ㅣ 曰先之勞之니라자로가 정사를 묻자온대 공자 가라사대 먼저하며 수고로울지니라 󰃨蘇氏曰凡民之行以身先之則不令而行凡民之事以身勞之則雖勤不怨蘇氏 曰凡民之行에 以身先之면 則不令而行이오 凡民之事에 以身勞之면 則雖勤이나 不怨이니라 소씨 가로대 무릇 백성의 행함에 (위정자가) 몸으로써 먼저하면 곧 영을 내리지 아니하여도 (백성들이) 행하고, 무릇 백성의 일에 (위정자가 먼저) 몸으로써 수고로우면 (백성들이) 비록 부지런하여도 원망하지 않느니라. 13-01-02請益.曰,“無倦.”請益한대 曰無倦이니라더함을 청함대 가라사대 게을리 말지니라. 󰃨吳氏曰勇者喜於有爲而不能持久故以此告之○程子曰子路問政孔子旣告之.. 2025.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