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76

<논어 헌문편 제45장>14-45-01子路問君子.子曰,“脩己以敬.”曰,“如斯而已乎?”曰,“脩己以安人.”曰,“如斯而已乎?”曰,“脩己以安百姓.脩己以安百姓,堯舜其猶病諸?” 14-45-01子路問君子.子曰,“脩己以敬.”曰,“如斯而已乎?”曰,“脩己以安人.”曰,“如斯而已乎?”曰,“脩己以安百姓.脩己以安百姓,堯舜其猶病諸?”子路ㅣ 問君子한대 子ㅣ 曰修己以敬이니라 曰如斯而已乎ㅣ잇가 曰修己以安人이니라 曰如斯而已乎ㅣ잇가 曰修己以安百姓이니 修己以安百姓은 堯舜도 其猶病諸시니라자로가 군자를 묻자온대 공자 가라사대 몸을 닦되 공경으로써 하니라. 가로대 이같이 할 뿐이니잇가? 가라사대 몸을 닦아서 써 사람을 편안히 하니라. 가로대 이같이 할 뿐이니잇가? 가로대 몸을 닦아서 써 백성을 편안히 함이니, 몸을 닦아서 써 백성을 편안히 함은 요순도 그 병되이 여기시니라.  󰃨修己以敬夫子之言至矣盡矣而子路少之故再以其充積之盛自然及物者告之無他道也人者對己而言百姓則盡乎人矣堯舜猶病言不可以有加如此以抑子路使反求諸近也蓋聖.. 2025. 1. 17.
<논어 헌문편 제44장>14-44-01子曰,“上好禮,則民易使也.” 14-44-01子曰,“上好禮,則民易使也.”子ㅣ 曰上이 好禮則民易使也ㅣ니라공자 가라사대 위가 예를 좋아하면 백성을 부리기 쉬우니라. [본문 해설]임금이 예를 좋아하면 절도가 있어서 백성이 그 절도를 본받을 것이고, 또한 예를 좋아하는 임금은 절도가 있게 백성을 부리기 때문에 백성을 부리기에 쉬우니라. 󰃨謝氏曰禮達而分定故民易使 謝氏 曰禮는 達而分定이라 故로 民易使니라사씨 가로대 예는 통하고 분수가 정해짐이라. 그러므로 백성을 부리기가 쉬우니라. 2025. 1. 17.
<논어 헌문편 제43장>14-43-01子張曰,“書云,‘高宗諒陰,三年不言.’何謂也?” 14-43-01子張曰,“書云,‘高宗諒陰,三年不言.’何謂也?”子張이 曰書云高宗이 諒陰三年을 不言이라 하니 何謂也잇고자장이 가로대 『서경』에 이르기를 고종이 양음에서 삼년 동안을 말이 없었다 하니 무엇을 이르니잇고?  󰃨高宗商王武丁也諒陰天子居喪之名未詳其義 高宗은 商王武丁也ㅣ라 諒陰은 天子居喪之名이니 未詳其義라고종은 상나라 왕 무정이라. 양음은 천자가 상에 거하는 것을 이름함이니 그 뜻은 상세하지 못함이라. 14-43-02子曰,“何必高宗,古之人皆然.君薨,百官總己以聽於冢宰三 年.”非所憂矣子ㅣ 曰何必高宗이리오 古之人이 皆然하니 君薨커시든 百官이 總己하야 以聽於冢宰三年하니라공자 가라사대 어찌 반드시 고종이리오. 옛 사람이 다 그러하니 임금이 죽거든 백관이 몸을 거느려서 써 총재에게 삼년을 듣느니라. [본문 해설].. 2025. 1. 17.
<논어 헌문편 제42장>14-42-01子擊磬於衛,有荷蕢而過孔氏之門者,曰,“有心哉,擊磬乎!” 14-42-01子擊磬於衛,有荷蕢而過孔氏之門者,曰,“有心哉,擊磬乎!”子ㅣ 擊磬於衛러시니 有荷蕢而過孔氏之門者ㅣ 曰有心哉라 擊磬乎ㅣ여공자가 위나라에서 경을 치시니 삼태기를 메고 공씨의 문앞을 지나는 자가 가로대 유심하다(마음을 두고 있구나), 경을 침이여.  [본문 해설]공자가 제자들과 함께 위나라에서 도를 펴기 위해 경을 치고 다녔다. 하루는 집에서 경을 치고 있는데 지나가던 은자가 경치는 소리를 듣고 그 소리에 담긴 공자의 마음을 읽은 것이다. ‘공자가 세상의 일에 너무 마음을 쓰는구나. 뭐 그리 야단스럽게 그러는고.’  󰃨磬樂器荷擔也蕢草器也此荷蕢者亦隱士也聖人之心未嘗忘天下此人聞其磬聲而知之則亦非常人矣磬은 樂器라 荷는 擔也ㅣ라 蕢는 草器也ㅣ라 此荷蕢者도 亦隱士也ㅣ라 경은 악기라. 하는 메는 것이라. 궤는 풀.. 2025.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