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헌문편 제8장>14-08-01子曰,“愛之,能勿勞乎?忠焉,能勿誨乎?”
14-08-01子曰,“愛之,能勿勞乎?忠焉,能勿誨乎?”子ㅣ 曰愛之란 能勿勞乎아 忠焉이란 能勿誨乎아誨:가르칠 회.공자 가라사대 사랑이란 능히 수고롭지 말랴, 충성이란 능히 가르치지 말랴. 蘇氏曰愛而勿勞禽犢之愛也忠而勿誨婦寺之忠也愛而池勞之則其爲愛也深矣忠而知誨之則其爲忠也大矣한가. 蘇氏 曰愛而勿勞면 禽犢之愛也ㅣ오 忠而勿誨면 婦寺之忠也ㅣ니 愛而知勞之면 則其爲愛也ㅣ 深矣요 忠而誨之면 則其爲忠也ㅣ 大矣니라소씨 가로대 사랑하면서 수고롭지 않으면 새나 송아지의 사랑이오, 충성만 하고 가르침이 없으면 지어미나 내시의 충성이니, 사랑하면서 수고로움을 알면 그 사랑함이 깊어지고, 충성하면서 가르치면 그 충성됨이 커지니라.
2025. 1. 8.
<논어 헌문편 제6장>14-06-01南宮适問於孔子曰,“羿善射,奡盪舟,俱不得其死然.禹稷躬稼而 有天下.”夫子不荅.南宮适出,子曰,“君子哉若人!尙德哉若人!”
14-06-01南宮适問於孔子曰,“羿善射,奡盪舟,俱不得其死然.禹稷躬稼而 有天下.”夫子不荅.南宮适出,子曰,“君子哉若人!尙德哉若人!”南宮适이 問於孔子曰羿는 善射하고 奡는 盪舟호대 俱不得其死ㅣ어늘 然禹稷은 躬稼而有天下하시니이다 夫子ㅣ 不答이러시니 南宮适이 出커늘 子ㅣ 曰君子哉라 若人이여 尙德哉라 若人이여 남궁괄이 공자에게 묻자와 가로대 예는 활을 잘 쏘고, 오는 배를 밀되 함께 그 죽음을 얻지 못했거늘 그러나 우임금과 직은 몸소 농사를 짓다가 천하를 두셨나이다. 부자가 대답을 아니하더시니 남궁괄이 나가거늘 공자 가라사대, 군자로다, 이 사람이여! 덕을 숭상함이로다, 이 사람이여! 适:빠를 괄. 羿: 후예 예. 奡:거만할 오. 盪:씻을 탕. 움직일 탕. 끌 탕. 稷:기장 직. 稼:심을 가. 躬:몸궁. 南宮适..
2025.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