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25 시간의 원리(여명이 밝아 오다) 시간의 원리(여명이 밝아 오다) 明 시간을 나타내는 말 明 = 日 + 月 (회의문자) 日⇨ 밝다 양→음 月⇨ 밝히다 음→양 동전의 양면으로 明의 얼개와 같다 厥明 厥 숨찰궐 그(것)궐 오랑케이름궐 逆 = 쉬엄쉬엄갈착(辶)이 없어도 같은 거스릴역 欠 = 부족할흠 빠질흠 하품흠 厂 = 바위엄 시간= 子時 ∼ 丑時 (23:00∼0:03) 제사를 마침 質明 그 厥의 집에 깃들이는 것 斦 모탕은(받침나무토막) 貝 좌우같음 未明 그 明이 未한 상태 (아직...이 아니다) 해가 처음 우꾼우꾼 돋아나려는 시간대 (곧 꽃을 우꾼우꾼 드러내 피워내는 현상) 黎明 鷄門 해를 깨우는 닭울음 소리가 들리는 경우 黎⇨해돋이여 厥明/質明 부모의 거듭남 祭祀 未明/黎明 나, 우리,모두의 거듭남을 축하 名節 厥明은 두 날이 겹치는 때.. 2023. 11. 26. 논어 팔일편 제 20 장 논어 팔일편 제 20 장 03-20-01子曰,“關雎,樂而不淫,哀而不傷.” 子ㅣ 曰關雎는 樂而不淫하고 哀而不傷이니라 공자 가라사대 (『시경』) 관저는 즐거워도 음탕하지 아니하고 서러워도 상하지 아니하니라. 關雎周南國風詩之首篇也.淫者樂之過而失其正者也.傷者哀之過而害於和者也.關雎之詩言后妃之德宜配君子.求之未得則不能無寤寐反側之憂.求而得之則宜其有琴瑟鐘鼓之樂.蓋其憂雖深而不害於和其樂雖盛而不失其正.故夫子稱之如此欲學者玩其辭審其音而有以識其性情之正也. 關雎는 周南國風이니 詩之首篇也ㅣ라 淫者는 樂之過而失其正者也ㅣ요 傷者는 哀之過而害於和者也ㅣ라 關雎之詩는 言后妃之德이 宜配君子하야 求之未得이면 則不能無寤寐反側之憂하고 求而得之면 則宜其有琴瑟鍾鼓之樂이라 하니 蓋其憂ㅣ 雖深이나 而不害於和하고 其樂이 雖盛이나 而不失其正이라 故로 夫子ㅣ .. 2023. 11. 26. 지자요수, 인자요산 물(水) 과 산(山) 項 水 山 개괄 모든 것을 받아줌 가장 위대한 가르침은 파도 (시련⇨정화) 굴곡이 없는 산은 없다 오르락 내리락하는 인생길을 견뎌내겠다는 무언의 약속 知者樂水(지자요수) 仁者樂山(인자요산) 해석 지혜있는 자는 물을 좋아하고 어진이는 산을 좋아한다 시기 1∼50세 50세 이후 형상 知者動 젊었을 때는 지자를 지향 회사로 말하면 사원 仁者靜 나이먹어서는 인자를 추구 회사로 말하면 임원(큰 그림) 효능 知者樂(락) 우레카 삶이 즐겁다 仁者壽(수) 오래 삶 의미 동적이면서 묶이지 않기에 즐거운것이고 물처럼 변화 정적이면서 영속하니 오래사는 것이고 산처럼 불변 애인/사랑하는 마음 2023. 11. 25. 논어 팔일편 제 19 장 논어 팔일편 제 19 장 03-19-01定公問,“君使臣,臣事君,如之何?”孔子對曰,“君使臣以禮,臣 事君以忠.” 定公이 問君使臣하며 臣事君호대 如之何ㅣ잇고 孔子ㅣ 對曰君使臣以禮하며 臣事君以忠이니이다 정공이 묻자호대 인군이 신하를 부리며 신하가 인군을 섬기되 어찌하니잇고? 공자 대답하여 가라사대 인군이 신하 부림을 예로써 하며 신하가 인군 섬김을 충성으로써 하니이다. 定公魯君名宋.二者皆理之當然各欲自盡而已. 定公은 魯君이니 名은 宋이라 二者는 皆理之當然이니 各欲自盡而已라 ○呂氏 曰使臣에 不患其不忠이오 患禮之不至며 事君에 不患其無禮요 患忠之不足이니라 尹氏 曰君臣은 以義合者也ㅣ라 故로 君使臣以禮면 則臣事君以忠이라 정공은 노나라 인군이니 이름은 송이라. 두 가지는 다 이치의 당연함이니 각각 스스로 다하고자 할 뿐이.. 2023. 11. 25. 이전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 2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