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논어 팔일편 제 19 장
03-19-01定公問,“君使臣,臣事君,如之何?”孔子對曰,“君使臣以禮,臣 事君以忠.”
定公이 問君使臣하며 臣事君호대 如之何ㅣ잇고 孔子ㅣ 對曰君使臣以禮하며 臣事君以忠이니이다
정공이 묻자호대 인군이 신하를 부리며 신하가 인군을 섬기되 어찌하니잇고? 공자 대답하여 가라사대 인군이 신하 부림을 예로써 하며 신하가 인군 섬김을 충성으로써 하니이다.
定公魯君名宋.二者皆理之當然各欲自盡而已.
定公은 魯君이니 名은 宋이라 二者는 皆理之當然이니 各欲自盡而已라 ○呂氏 曰使臣에 不患其不忠이오 患禮之不至며 事君에 不患其無禮요 患忠之不足이니라 尹氏 曰君臣은 以義合者也ㅣ라 故로 君使臣以禮면 則臣事君以忠이라
정공은 노나라 인군이니 이름은 송이라. 두 가지는 다 이치의 당연함이니 각각 스스로 다하고자 할 뿐이라. ○여씨 가로대 신하를 부림에 그 불충함을 근심치 아니하고 예가 지극하지 않음을 근심하며 인군을 섬김에 그 예 없음을 근심치 아니하고 충성이 부족함을 근심해야 하니라. 윤씨 가로대 인군과 신하는 의로써 합하니라. 그러므로 인군이 신하를 부림에 예로써 하면 신하는 인군을 섬김에 충성으로써 하니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