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58 논어 위정편 제 10 장 –인언수재 논어 위정편 제 10 장 –인언수재 02-10-01子曰,“視其所以,觀其所由,察其所安.人焉廋哉?人焉廋哉?” 子ㅣ 曰視其所以하며 공자 가라사대 그 하는 바를 보며 觀其所由하며 그 따르는 바를 보며 察其所安이면 그 편안한 바를 살펴보면 人焉庾哉리오 人焉庾哉리오 사람이 어찌 숨기리오, 사람이 어찌 숨기리오! [본문 해설] 맹자도 공손추상편 제2장에서 “詖辭애 知其所蔽하며 淫辭애 知其所陷하며 邪辭애 知其所離하며 遁辭애 知其所窮하니(한쪽(편벽된) 말에 그 가리운 바를 알며, 음탕한 말에 그 빠진 바를 알며, 간사한 말에 그 떠나는 바를 알며, 도망하는 말에 그 궁한 바를 아니)”라 하였고, 주역 계사하전 맨끝에서 공자는 “將叛者는 其辭ㅣ 慙하고 中心疑者는 其辭ㅣ 枝하고 吉人之辭는 寡하고 躁人之辭는 多하고 誣善之人은.. 2023. 9. 12. 멘사들의 넌센스게임(頓悟) 멘사들의 넌센스게임(頓悟) 頓悟 ? 는 무엇일까요. 멘사들의 넌센스 게임. Break time 답은 아래↓ ❶ 2 1 1 1 2 2 2 2 2 1 3 2 2 2 3 3 ? 3 3 2 ❷ 100 = 1/100 직선을 하나만 그어 완성? ❸ 백 조 = 1 고 래 = 0 오소리 = 2 사 슴 = ? ❹ 111 = 13 112 = 24 113 = 35 115 = ? ❺ 서귀포 = 0 인 천 = 2 서 울 = 1 대 구 = ? ❻ 1 1 2 3 5 ? 9 ❼ 5 + 1 = 46 6 + 4 = 210 8 + 7 = 115 7 + 1 = ? ❽ 1 = 4 2 = 7 3 = 6 4 = ? ❾ 당구공숫자 1, 3, 5, 7 ,9 □ + □ + □ = 10 □안에 들어갈 숫자는 ? ❿ 6 = 30 4 = 12 5 = 20.. 2023. 9. 11. 논어 위정편 제 9 장 –회야불우 논어 위정편 제 9 장 –회야불우 02-09-01子曰,“吾與回言終日,不違如愚.退而省其私,亦足以發,回也不 愚.” 子曰,“吾與回言終日하면,不違如愚하더니.亦退而省其私혼대 亦足以發하나니 回也ㅣ 不愚ㅣ로다 공자 가라사대 내 회와 더불어 종일을 말하면 어기지 아니하니 어리석은 것 같더니 물러나 그 사사로움을 살핀대 또한 족히 써 발하나니 회는 어리석지 않도다. 回孔子弟子姓顔字子淵.不違者意不相輩有聽受而無問難也.私謂燕居獨處非進見請問之時.發謂發明所言之理.愚聞之師曰顔子深潛純粹其於聖人體段已具.其問夫子之言黙識心融觸處洞然自有條理故終日言但見其不違如愚人而已.及退省其私則見其日用動靜語黙之間皆足以發明夫子之道.坦然由之而無疑然後知其不愚也. 回는 孔子弟子니 姓은 顔이오 字는 子然이라 不違者 意不相背하고 有聽受而無問難也ㅣ라 私는 謂燕居獨處요.. 2023. 9. 11. 논어 위정편 제 8 장 -문효∼ 색난, 유사 논어 위정편 제 8 장 -문효∼ 색난, 유사 02-08-01子夏問孝.子曰,“色難.有事,弟子服其勞,有酒食,先生饌,曾是以 爲孝乎?” 子夏ㅣ 問孝한대 子ㅣ 曰色難이니 有事ㅣ어든 弟子ㅣ 服其勞하고 有酒食ㅣ어든 先生饌이 曾是以爲孝乎아 자하기 효를 물은대 공자 가라사대 얼굴빛 갖기가 어려우니, 일이 있거든 제자가 그 수고로움(일)에 복종하고 술과 먹을 것이 있거든 선생(부형)의 찬을 함이 일찍이 이로써 효가 되랴? 色難謂事親至際惟色爲難也.食飯也.先生父兄也.饌飮食之也.曾猶嘗也.蓋孝子之有深愛者必有和氣有和氣者必有愉色有愉色者必有婉容.故事親之際惟色爲難耳.服勞奉養未足爲孝也.舊說承順父母之色爲難亦通. 色難은 謂事親之際에 惟色爲難也ㅣ라 食는 飯也ㅣ라 先生은 父兄也ㅣ라 饌은 飮食之也ㅣ라 曾은 猶嘗也ㅣ라 蓋孝子之有深愛者는 必有和氣하.. 2023. 9. 3. 이전 1 ··· 160 161 162 163 164 165 166 ··· 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