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53 논어 위정편 제 3 장 - 도지이정∼ 02-03-01子曰,“道之以政,齊之以刑,民免而無恥 子ㅣ 曰道之以政하고 齊之以刑이면 民免而無耻니라 공자 가라사대 인도하되 정사로써 하고 가지런히 하되 형벌로써 하면 백성이 형벌을 면하기는 하되 부끄러움이 없느니라. [본문해설] 한 나라의 백성을 이끄는데 솔선수범하여 정치를 하면서 법령과 제도로써 잘 인도하고, 잘 따르지 않는다고 형벌로써 하여 사회 평화를 이룬다면 모든 백성들이 그 형벌을 면하려고 노력은 하지만 부끄럼이 없게 된다. 다시 말해 ‘民免’은 곧 죄를 짓지 않는다는 뜻이고 ‘無恥’는 곧 나쁜 짓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道猶引導謂先之也.政謂法制禁令也.齊所以一之也.道之而不從者有刑以一之也.免而無恥謂苟免刑罰而無所羞愧蓋雖不敢爲惡而爲惡之心未嘗忘也. 道는 猶引導니 謂先之也ㅣ라 政은 謂法制禁令也ㅣ라 .. 2023. 8. 29.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 불교인들이 지은 게송(偈頌) 偈頌⇨불교에서 붓다의 공적이나 가르침을 찬탄하는 한시 형식의 노래 내용 : 불교계에서 불교적 교리를 담은 한시의 한 형태 경전⇨釋尊께서 태어나자마자 동서남북 사방으로 일곱걸음을 걷고나서 한 손은 하늘을 가리키고 한 손은 땅을 가리키며 말한 것이라고 한다 하늘과 땅 사이에 오직 나만이 홀로 존귀하다 바꾸어 말하면 라는 안아무인이며 독선적인 사람을 이라 한다 그러나 본래 뜻과는 거리가 멀다고 한다 我는 석존 자신이 아니라 모든 사람 즉 한 사람 한 사람 다 해당된다 인도에는 사성계급이 있어 계급차별을 받아가며 평생을 살아갔지만 고귀한 계급출신도 천민 계급출신도 석존의 제자들이 고루 있었다 불교의 핵심사상인 慈悲는 이런 사회제도의 불공평을 정면으로.. 2023. 8. 28. 논어 위정편 제 2 장 – 사무사 논어 위정편 제 2 장 – 사무사 02-02-01子曰,“詩三百,一言以蔽之,曰,‘思無邪’.” 子ㅣ 曰詩三百에 一言以蔽之하니 曰思無邪ㅣ니라 공자 가라사대 『시경』 삼백편에 한 말로써 덮으니(한마디로 말한다면) 생각에 간사함이 없느니라. [본문해설] 공자는 『시경』 삼백편을 다 읽고 난 뒤에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思無邪’라고 하셨다. 시경의 글들이 “興也ㅣ라 賦也ㅣ라”하고 끝나 마음이 흥기되어 즐겁기는 하지만 음탕한 데로 흐르지 않고[樂而不淫]고, 슬프게 했어도 상하는 일이 없고[哀而不傷], 군자가 숙녀를 그리는 마음이 삿될 것 같은 데도 삿된 곳으로 흐르지 않음을 이른 말이다. 詩三百十一篇言三百者擧大數也.蔽猶蓋也.思無邪魯頌경篇之辭.凡詩之言善者可以感發人之善心惡者可以懲創人之逸志其用歸於使人得其情性之正而已.然其言.. 2023. 8. 28. ☀☀행복 마을 언어 7가지 ☀☀행복마을 언어 7가지 행복한 마을 사람들이 가장 많이 쓰는 말은 무엇일까 ? 1. 미안해요 I am sorry 2. 괜찮아요 That’s okay 3. 좋아요 Good 4. 잘했어요 Well Done 5. 훌륭해요 Great 6. 고마워요 Thank You 7. 사랑해요 I love You 라고 합니다 행복을 만드는 것은 물질이 아니라 이라고 한다 불행을 만드는 것도 역시 이다 은 행복도 만들고 불행도 만든다 같은 사람이라도 악기를 바꾸면 악기에 따라 다른 소리가 난다 말하는 사람은 같더라도 하는 말에 따라 새로운 파동을 일으킨다 되는 일이 없다 성질난다 하기싫다 꼴도 보기 싫다 밥맛 없어 라는 부정적인 말을 하는 사람은 부정적인 방향으로 가게 마련이다 피곤하다고 하면 피곤만 더할 뿐이며 기분 나쁘다.. 2023. 8. 27. 이전 1 ···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