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03

역지사지(易地思之) 易地思之 인조때 큰 가뭄이 들어서 농작물이 모두 타들어가고 민심은 흉흉해졌다. 인조대왕은 베옷을 입고 신하들과 함께 남한산성을 올라가 기우제를 올렸다. 하늘에 먹구름이 몰려오더니 굵은 빗방울의 소나기가 내리기 시작했다. 얼마나 기다린 비인가. 더욱이 임금님이 친히 베옷을 입고 기우제를 드린 후에 내리는 비가 아닌가. 만조백관들과 백성들은 얼싸안고 비를 맞으며 춤을 추며 기뻐했다. 인조대왕도 기뻐서 같이 비를 맞으며 춤을 추며 기뻐했다. 그때 임금님의 눈에 아주 거슬리는 행동을 하는 자가 보였다. 그건 한 선비가 갑자기 비가 오니까, 갓 끝을 붙잡고 비를 피해 처마 밑으로 후다닥 피하는 것이 아닌가. 아니 비를 맞으며 춤을 추어도 모자랄 판에 그 비를 맞지 않겠다고 비를 피해서 처마 밑으로 피하다니 저런 .. 2023. 5. 20.
주역-6.송괘(訟卦)[卦象:천수송] Hexagram 6.송괘(訟卦)[卦象:천수송] Conflict 논쟁 Argue 고집버리고 이성적으로 생각하라 핵심Keyword → 순리를 따르라(내실) ☰乾上☵坎下 감[水.물]이 아래에 있고, 건[天.하늘]이 위에 있다. 訟,有孚,窒惕,中吉,終凶。利見大人,不利涉大川。 막힐질 두려워할척 송(訟)은,믿음이 있어도 막히면 두렵고, 가운데는 길하지만 마침은 흉하다 ★ 하늘의 태양 동 → 서 중국의 강물 서 → 동 (서로 반대) 《彖》曰,訟,上剛下險,險而健、訟。訟,有孚窒惕,中吉,剛來而得中也。終凶,訟不可成也。利見大人,尚中正也。不利涉大川,入于淵也。 《단전》에서 말하였다. “송(訟)괘는 위는 강하고(天) 아래는 험하며(水),험하고 굳건함이 송괘이다. 송(訟)은 소송 재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남과의 투쟁을 말한다 송은 .. 2023. 5. 20.
주역 -5.수괘(需卦)[卦象:수천수] Hexagram 5.수괘(需卦)[卦象:수천수] Waiting nourishment 믿음 기다림 핵심은 孚(믿음) 준비하며 기다리라는 미학 ☵坎上 ☰乾下 건[天.하늘]이 아래에 있고, 감[水.물]이 위에 있다 需,有孚,光亨貞吉,利涉大川。 수(需)는 믿음이 있어야 빛이 형통하고 곧고 길하며, 큰 냇물을 건너야 이롭다. 需=須 기다릴수(구할수) / 기다릴수(모름지기수) 기다림은 능동적인 기다림 / 뭔가 얻을 수 있는 기대감 需 = 雨 + 天 비는 축복 은총 (이체자는 雨 밑에 天) 《彖》曰:需,須也,險在前也,剛健而不陷,其義不困窮矣。需有孚,光亨貞吉,位乎天位,以正中也。利涉大川,往有功也。 《단전》에서 말하였다:‘수(需)’는 須와 같은 것이니 기다림인데, 험함이 앞에 있을 때 훌륭한 사람은 이것을 극복할만한 여건이 .. 2023. 5. 20.
병아리와 독수리(The chicken and the Eagle!) The chicken and the Eagle! 당신은 병아리인가? 독수리인가? ① 독수리와 병아리 인디언들은 성인식 날 용맹성을 증명하기 위해 독수리 둥지에서 독수리 알을 꺼내 와야 했답니다. 독수리들은 험한 바위산 꼭대기에 둥지를 틀고 알을 낳아 기른다고 합니다. 인디언 전사들은 성인식 날 가파른 산을 올라 꼭대기에 있는 독수리 둥지에서 알을 꺼내와 용기와 힘을 증명했습니다. 독수리 둥지에서 꺼내 온 알 하나를 누군가가 닭장 안에 넣어두었습니다. 어미닭은 자신의 알인 줄 알고 따뜻하게 품어주었습니다. 독수리알도 다른 알과 같이 부화하여 세상에 나왔답니다. 큰 부리와 발, 커다란 날개를 가진 독수리 새끼는 같이 나온 병아리들과 생김새부터 달랐습니다. ‘내가 낳았지만 너무 못 생겼다. 불쌍한 녀석’ 어미.. 2023.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