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18

<논어 자장편 제24장>19-24-01叔孫武叔毁仲尼.子貢曰,“ 19-24-01叔孫武叔毁仲尼.子貢曰,“無以爲也!仲尼不可毁也.他人之賢 者,丘陵也,猶可踰也,仲尼,日月也,無得而踰焉.人雖欲自絶,其何 傷於日月乎?多見其不知量也.”叔孫武叔毁仲尼. 子貢曰 無以爲也. 仲尼不可毁也. 숙손무숙이 공자를 헐뜯자, 자공이 말하길 “그래도 소용없습니다. 선생님은 감히 헐뜯을 수가 없는 분이십니다.  他人之賢者丘陵也 猶可踰也. 仲尼日月也 無得而踰焉. 人雖欲自絶 其何傷於日月乎 多見其不知量也.다른 현명한 사람이라면 언덕과 같아 넘어갈 수 있습니다만, 선생님께서는 해와 달과 같아 넘어갈 수가 없습니다. 사람들이 비록 스스로 끊으려고 하나 해와 달에 무슨 손상이 있겠습니까? 바로 자신이 분수를 모른다는 것을 나타낼 뿐입니다.”  해설> 훼(毁)는 헐뜯는 것이다. 無以爲는 그렇게 해 봐야 소용없다는 말.. 2025. 2. 22.
<논어 자장편 제23장>19-23,-01 叔孫武叔語大夫於朝曰 子貢賢於仲尼. 19-23,-01 叔孫武叔語大夫於朝曰 子貢賢於仲尼. 숙손무숙이 조정에서 대부들에게 말하기를 “자공이 중니보다 더 현명하다.” 󰃨武叔魯大夫名州仇 󰃨주자 武叔은 魯大夫니 名은 州仇라무숙(武叔)은 노나라 대부니 이름은 주구(州仇)라.  19-23-02子服景伯以告子貢.子貢曰,“譬之宮牆,賜之牆也及肩,闚見室家 之好.子服景伯以告子貢. 子貢曰 譬之宮牆 賜之牆也及肩 窺見室家之好. 자복경백이 이 말을 자공에게 알리자, 자공이 말하길 “궁실의 담장에 비유하여 말한다면, 나의 담장은 겨우 어깨에 미치는 것으로 집 안의 좋은 것을 다 엿볼 수 있습니다. 󰃨牆卑室淺 󰃨주자 牆은 卑하고 室은 淺이라 牆은 卑하고 室은 淺이라 19-23-03夫子之牆數仞,不得其門而入,不見宗廟之美,百官之富.夫子之牆數仞 不得其門而入 不見宗廟之美 .. 2025. 2. 20.
<논어 자장편 제22장>19-22-01衛公孫朝問於子貢曰,“仲尼焉學?” 19-22-01衛公孫朝問於子貢曰,“仲尼焉學?”衛公孫朝問於子貢曰 仲尼焉學. 위나라 공손조가 자공에게 묻기를 “중니께서는 어디에서 배우셨습니까?” 󰃨公孫朝衛大夫󰃨주자 公孫朝는 衛大夫니라공손조는 위나라 대부니라.   19-22-02子貢曰,“文武之道,未墜於地,在人.賢者識其大者,不賢者識其 小者.莫不有文武之道焉.夫子焉不學?而亦何常師之有?”子貢曰 文武之道 未墜於地 在人. 賢者識其大者 不賢者識其小者. 莫不有文武之道焉. 夫子焉不學 而亦何常師之有. 자공이 말하길 “문왕과 무왕의 도가 아직 땅에 떨어지지 않아 사람에게 있습니다. 현명한 자는 그 큰 것을 기억하고 있으며, 그렇지 못한 자는 그 작은 것을 알고 있습니다. 문왕과 무왕의 도가 없는 곳이 없습니다. 선생님께서 어디선들 배우지 않은 곳이 있겠으며, 또한 어찌 .. 2025. 2. 16.
<논어 자장편 제21장>19-21-01子貢曰,“君子之過也,如日月之食焉,過也,人皆見之,更也,人皆 仰之.” 19-21-01子貢曰,“君子之過也,如日月之食焉,過也,人皆見之,更也,人皆 仰之.”21 子貢曰 君子之過也 如日月之食焉. 過也 人皆見之. 更也 人皆仰之. 자공이 말하길 “군자의 잘못은 일식이나 월식과 같아, 잘못을 저지르면 모두가 보게 되고, 고치면 모두가 우러러본다.”  해설> 군자는 만인이 주시하는 대상이다. 따라서 군자의 잘못은 일식이나 월식과 같아 감추려고 해도 감춰지지 않는다. 그러기에 군자는 소인처럼 자신의 잘못을 굳이 변명하려고 하지 않는다(小人之過也 必文―자장 8). 또한 군자는 자신의 잘못을 고치기를 꺼려하지 않는다(過則勿憚改―학이 8). 잘못을 저지르고도 고치려고 하지 않는 것, 그것이 또한 잘못이기 때문이다(過而不改 是謂過矣―위령공 29). 군자가 잘못을 고칠 경우 사람들은 그를 더욱 우러.. 2025.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