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19

<논어자장편제9장>19-09-01子夏曰,“君子有三變,望之儼然,卽之也溫,聽其言也厲.” 19-09-01子夏曰,“君子有三變,望之儼然,卽之也溫,聽其言也厲.”子夏曰 君子有三變. 望之儼然 卽之也溫 聽其言也厲. 자하가 말하길 “군자는 세 가지 변함이 있다. 멀리서 보면 의젓하며, 가까이 다가가면 온화하고, 그 말을 들으면 엄정하다.”  해설> 엄(儼)은 의젓한 모양이다. 온(溫)은 온화한 모양, 려(厲)는 말이 엄정(嚴正)한 것이다. 황간의 『논어의소』에 인용된 진(晋)의 이충(李充)의 해설에 의하면, 군자는 전혀 변하는 것이 없으나, 남들이 그렇게 일컫는 것이라고 한다. 또 다산은 여기서의 군자란 공자를 일컫는 말이라고 하고 있다. 󰃨儼然者貌之莊溫者色之和厲者辭之確○程子曰他人儼然則不溫溫則不厲惟孔子全之謝氏曰此非有意於變蓋竝行而不相悖也如良玉溫潤而栗然 󰃨儼然者는 貌之莊이오 溫者는 色之和요 厲者는 辭之確.. 2025. 2. 9.
<논어자장편제8장>19-08-01子夏曰,“小人之過也必文.” 19-08-01子夏曰,“小人之過也必文.”8, 子夏曰 小人之過也 必文. 자하가 말하길 “소인이 잘못을 저지르면 반드시 꾸며댄다.”  해설> 문(文)은 꾸미는 것이다. 소인은 잘못을 범할 경우 그것을 고치려 하지 않고, 오히려 그 잘못을 은폐하기 위하여 온갖 변명을 꾸며댄다. 그럼으로써 잘못은 더욱 커져 갈 뿐이다.  참고> 학이 8에서는 잘못이 있을 경우 고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하고 있으며, 위령공 29에서는 허물이 있는 것을 고치려 하지 않는 것, 이것이 허물이라고 하고 있다. 또 본편 21에는 군자의 잘못은 일식이나 월식과 같아, 잘못을 저지르면 모두가 보게 되고, 고치면 모두가 우러러본다는 말이 있다 󰃨文飾之也小人憚於改過而不憚於自欺故必文以重其過 󰃨文은 飾之也라 小人은 憚於改過而不憚於自欺라 .. 2025. 2. 9.
<논어자장편제7장>19-07-01子夏曰,“百工居肆以成其事,君子學以致其道.” 19-07-01子夏曰,“百工居肆以成其事,君子學以致其道.”子夏曰 百工居肆以成其事 君子學以致其道. 자하가 말하길 “모든 장인(匠人)들은 작업장에서 그 일을 하고, 군자는 학문으로써 그 도를 이룬다.”肆-방사할사 해설> 사(肆)는 점포를 말하며, 여기서는 장인이 일하는 작업장이다. 치(致)는 극(極)으로, 궁극에까지 이르는 것이다. 군자가 학문에만 전념할 것을 가르친 말이다 󰃨肆謂官府造作之處致極也工不居肆則遷於異物而業不精君子不學則奪於外誘而志不篤尹氏曰學所以致其道也百工居肆必務成其事君子之於學可不知所務哉愚按二說相須其義始備 󰃨肆는 謂官府造作之處라 致는 極也라 工不居면 則遷於異物而業不精이오 君子不學이면 則奪於外誘而志不篤이라 尹氏曰學이 所以致其道也라 百工居肆라야 必務成其事니 君子之於學에 可不知所務哉아 愚는 按二說相須하니.. 2025. 2. 9.
<논어 자장편 제6장>19-06-01子夏曰,“博學而篤志,切問而近思,仁在其中矣.” 19-06-01子夏曰,“博學而篤志,切問而近思,仁在其中矣.”6, 子夏曰 博學而篤志 切問而近思 仁在其中矣. 자하가 말하길 “널리 배우고 뜻을 돈독히 가지며, 절실하게 묻고 가까이서부터 생각한다면, 인(仁)이 그 가운데 있으리라.”  해설> 切問은 절실하게 묻는 것이고, 近思는 가까운 데서부터 생각하는 것이다. 공자는 자기와 가까운 것에서부터 터득하여 멀리 남에게까지 미루어 가는 것(能近取譬)을 인(仁)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보고 있다(能近取譬 可謂仁之方也已―옹야 28). 주자가 쓴 『근사록(近思錄)』은 여기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  󰃨四者皆學問思辨之事耳未及乎力行而爲仁也然從事於此則心不外馳而所存自熟故曰仁在其中矣○程子曰博學而篤志切問而近思何以言仁在其中矣學者要思得之了此便是徹上徹下之道又曰學不博則不能守約志不篤則不能力行切.. 2025.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