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논어 위령공 제6장>15-06-01子曰,“直哉史魚!邦有道,如矢,邦無道,如矢.

by 20h20h 2025. 1. 20.
728x90
반응형

15-06-01子曰,“直哉史魚!邦有道,如矢,邦無道,如矢.

子曰 直哉 史魚! 邦有道, 如矢, 邦無道, 如矢

공자 가라사대 곧도다, 사어여! 나라에 도가 있음에 화살과 같으며, 나라에 도가 없음에 화살과 같도다.”

 

󰃨史官名魚衛大夫名鰌如矢言直也史魚自以不能進現退不肖旣死猶以尸諫故夫子稱其直事見家語

官名이오 衛大夫如矢言直也史魚 自以不能進賢退不肖하고 旣死猶以尸諫이라 夫子 稱其直하시니 事見家語하니라

나타날 현

()는 벼슬 이름이고 어()는 위나라 대부니 이름은 추(). 여시(如矢)는 곧음을 말함이라. 사어가 스스로 그로써 능히 어진 이를 나아가게 하고 불초한 이를 물러나게 하지 못했으니 이미 죽음에 오히려 시신으로써 간()했음이라. 그러므로 부자께서 그 곧음을 칭찬하시니 일이 󰡔공자가어󰡕에 나타남이라.

 

15-06-02君子哉蘧伯玉!邦有道,則仕,邦無道,則可卷而懷之.”

君子哉 蘧伯玉 ! 邦有道,則仕, 邦無道,則可卷而懷之

(공자 가라사대) “군자라, 거백옥이여! 나라에 도가 있으면 벼슬하고, 나라에 도가 없으면 가히 거두어서 감추도다.

 

󰃨伯玉出處合於聖人之道故曰君子卷收也懷藏也如於孫林父寗殖弑之謀不對而出亦其事也楊氏曰史魚之直未盡君子之道若伯玉然後可免於亂世若史魚之如矢則雖欲卷而悔之有不可得也

 

伯玉出處合於聖人之道曰君子收也藏也如於孫林父, 甯殖放弑之謀不對而出亦其事也

차라리 녕(=)

거백옥의 출처는 성인의 도에 합하므로 군자라고 하심이라. ()은 거둠이고, ()는 감춤이니라. 손임보(손문자)와 영식(영혜자)(임금을) 쫓아 내고 시해하려는 모의에 (거백옥은) 상대하지 않고 떠나간 것과 같음이 또한 그 일이라.

 

楊氏 史魚之直未盡君子之道어니와 若蘧伯玉然後可免於難世若史魚之如矢則雖欲卷而懷之有不可得也리라

양씨 사어의 곧음은 군자의 도를 다하지 못했거니와 거백옥 같은 연후에 가히 난세를 면할 것이니, 만약 사어의 화살과 같음이라면 비록 거둬서 숨고자 하나 가히 얻지 못함이 있으리라(사어는 화살과 같기에 물러날 때 물러날 줄 몰라 헛되이 죽을 가능성이 큼이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