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논어 위령공편 제1장>15-01-01衛靈公問陳於孔子.孔子對曰,“俎豆之事,則嘗聞之矣,軍旅之事,未之學也.”明日遂行,

by 20h20h 2025. 1. 19.
728x90
반응형

<衛靈公第十五>

 

衛靈公第十五-수신과 처세

 

凡四十一章

이 편은 41장으로 구성되었다. () 영공(靈公)을 첫 장으로 삼아 당시 제후들이 예악보다는 군사 일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공자가 더 이상 를 펴지 못하고 철환주유를 마치고 노나라로 돌아감을 암시하고 있다.

 

15-01-01衛靈公問陳於孔子.孔子對曰,“俎豆之事,則嘗聞之矣,軍旅之事,未之學也.”明日遂行,

衛靈公 問陳於孔子 孔子對曰 俎豆之事 則嘗聞之矣 軍旅之事 未之學也 明日遂行

위 영공이 공자께 진법을 묻자온대, 공자 대답하여 가라사대 제사지내는 일인즉 일찍이 들었거니와 군사의 일은 배우지 못했나이다.” 하시고, 다음날에 마침내 떠나셨다.

俎豆(조두) 제사지내는 그릇 12,500명 군대 500명 군대 성낼 온 여기서는 뵐 현

 

󰃨陳謂君師行伍之列俎豆禮器尹氏曰衛靈公無道之君也復有志於戰伐之事故答以未學而去之

謂軍旅行伍之列이라 俎豆禮器尹氏 衛靈公無道之君也復有志於戰伐之事答以未學而去之시니라

()은 군대 항오의 대열을 이름이라. 조두(俎豆)(제사지내는) 예기라. 윤씨 말하되

위령공은 무도한 인군이라. 다시 전쟁과 정벌의 일에 뜻을 두었으므로 (공자가) 배우지 아니했다는 것으로써 답하시고 (위나라를) 떠나셨느니라.

 

15-01-02在陳絶糧,從者病,莫能興.

在陳絶糧 從者病 莫能興

()나라에 있을 때 양식이 떨어져 따르는 제자들이 병들어 능히 일어나지 못하더니,

 

󰃨孔子去衛適陳興起也

孔子去衛適陳하시니라 起也

공자가 위나라를 떠나 진나라로 가셨음이라. ()은 일어남이라

 

15-01-03子路慍見曰,“君子亦有窮乎?”子曰,“君子固窮,小人窮斯濫 矣.”

子路慍見曰 君子亦有窮乎? 子曰 君子固窮 小人 窮斯濫矣

자로가 성내며 (공자를) 뵙고 가로대 군자도 또한 궁함이 있습니까?”

공자 가라사대 군자는 진실로 궁하니, 소인은 궁하면 넘치느니라(분수를 넘는 짓을 하느니라).”

 

󰃨何氏曰濫溢也言君子固有窮時不若小人窮則放溢爲非程子曰固窮者固守其窮亦通愚按聖人當行而行無所顧慮處因而享無所怨悔於此可見學者宜深味之

 

何氏 濫溢也言君子固有窮時호대 不若小人窮則放溢爲非程子曰固窮者固守其窮이라하시니 亦通이라

하씨 남()은 넘침이라. 군자도 진실로 곤궁한 때가 있으되, 소인처럼 궁하다고 방종하게 분수를 넘어 그릇된 짓을 하는 것과는 같지 않음을 말함이라. 정자 가라사대 진실로 궁하다는 것은 진실로 그 궁함을 지키는 것이라 하시니 또한 통함이라.

 

愚謂聖人當行而行하여 無所顧慮하고 處困而亨하여 無所怨悔於此可見矣하니 學者宜深味之니라

우가 이르되 聖人은 마땅히 행해야 함에 행하여 (이해관계에 얽매여) 고려하는 바가 없고, 곤궁한데 처하고도 형통하여 원망하고 후회하는 바가 없음을 여기에서 볼 수 있으니, 배우는 자가 마땅히 깊이 맛보야 하니라.

 

마부 어, 여기서는 공문자의 이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