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exagram 28.대과괘(大過卦)[卦象:택풍대과]
preponderance of the Great 희망의해 동짓달 지나침
물이 나무를 멸하는 것
☱兌上 ☴巽下 손[風.바람/나무]이 아래에 있고, 태[澤.못]가 위에 있다.
大過,棟橈,利有攸往,亨。 棟 용마루동/마룻대동 橈 굽울요 /꺾일요 대과(大過)는 들보가 휘어지니, 가서 다스려야 이롭고 형통하다. ★큰 것이 지나쳐 균형이 맞지 않는 상태를 표시 |
- 서까래❶ (大)들보❿ 종도리 = 上梁 /上樑 엄격히 말하면 上棟
道里 = 마룻대(대)들보 – 싸까래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에 건너지르는 나무로써 보라고도 하며 그 중 가장 큰 상중보를 大들보라고 함 한자로는 梁이며 椺(보)나 袱(복)으로 쓰기도 한다 |
《彖》曰:大過,大者過也。棟橈,本末弱也。剛過而中,巽而說行,利有攸往,乃亨。大過之時大矣哉! 집이라면 그 구조와 재목들은 지나치게 큰데 반하여 그것을 밑에서 받치는 기초와 위에서 지탱하고 있는 대들보와 마룻대는 약하여 휘어 있는 상태다 나라안은 어지럽고 强力을 자랑하는 무리들이 많아서 강력위주의 기풍이 지나치건만 이것을 견제할 군주와 신하의 힘이 유약한 상태이다 그러나 剛强한 것이 지나치다고는 하나 중용의 도리를 지켜 즐겨 순종하는 형태이므로 적극적으로 나아가 위난에 대처하여도 좋다 크게 발전하리라 대과의 상태에서는 때를 기다림이 매우 중요하다 ★ 대과괘는 그형태를 보면 아래와 위의 각 한 효씩을 제외하고는 모두 강효여서 그 강강한 힘을 상.하의 유약한 음효가 제어하기에는 벅차서 마치 거대한 구조를 가진 집의 기초와 대들보가 약함과 같다고 설명한 것이다 그리고 2효와 5효는 양효로서 각각 상.하괘의 중위에 있으므로 중용의 도리를 지킨다고 한것이요. 兌는 기쁨을 상징하는 괘요 하괘인 巽은 순종을 의미하는 괘이므로 즐겨 순종한다로 풀이함 |
《象》曰:澤滅木,大過。君子以獨立不懼,遯世无悶。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연못이 나무를 없앰이 대과(大過)괘이니, 군자가 그로써 홀로 서서 두려워하지 않으며 ,세상에 은둔하여도 근심이 없다.(두려워하지 않는다)“ ⛵⛵ 獨立不懼,遯世无悶 - 고위직에서 물러나 끈 떨어져 아무도 찾아오는 者도, 전화로 안부를 묻는 者 없어도 이런 자세라야 군자라 할 수 있다 |
初六,藉用白茅,无咎。 깔개자 《象》曰:藉用白茅,柔在下也。 깨끗한 흰 띠풀을 펴고 그 위에 물건을 놓듯이 경건하고 정중한 마음으로 몸을 가지면 허물이 없으리라 |
九二,枯楊生稊,老夫得其女妻,无不利。 돌피제 가라지제 《象》曰:老夫女妻,過以相與也。 고목이 된 버드나무에 새싹이 난다 늙은 홀아비가 나이 어린 아내를 얻다 때를 지나기는 하였으나 그런대로 만사가 순조롭다" ★유약이 강강보다 낫다 |
九三,棟橈,凶。 《象》曰:棟橈之凶,不可以有輔也。 마룻대가 휘다 어떻게 받쳐 줄 방법이 없다 흉하리라 북적 서융 周 동이 남만 |
九四,棟隆,吉,有它吝。 它다를타 뱀사 《象》曰:棟隆之吉,不橈乎下也。 隆높을융 마룻대가 높직이 솟아 아래로 휘지 않는다 길하다 그러나 他意가 있으면 비난을 받아 곤경에 빠지리라 |
九五,枯楊生華,老婦得其士夫,无咎无譽。 《象》曰,枯楊生華,何可久也。老婦士夫,亦可醜也。 고목이 된 버드나무에 꽃이 피다 늙은 여자가 젊은 남편을 얻다 고목에 핀 꽃은 오래 갈 수 없고 늙은 아내에 젊은 남편은 꼴사나운 노릇이다 그러나 허물될 것도 없고 또 명예로울 것도 없다 문왕8괘 정역8괘(후천) 중녀 모 장녀 모 ☻ 장녀 중녀 九二★ 장남 귀택귀매 ★ 소녀 소남 소녀 九五☻소남 부 중남 장남 중남 부 |
上六,過涉,滅頂,凶。无咎! 《象》曰:過涉之凶,不可咎也。 자신의 힘에 넘치건만 전진하겠다는 一念으로 大河를 건너다가 물에 머리가 잠긴다 흉하다 그러나 나라를 위한 마음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하는 일이니 허물은 없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