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exagram 27.이괘(頤卦)[卦象:산뢰이]
providing nourishment The corner of the mouth
기르다 養也
☶艮上 ☳震下 진[雷.우뢰]이 아래에 있고, 간[山.산]이 위에 있다.
頤,貞吉。觀頤,自求口實。턱이 / 기를이 이(頤)는 곧아야 길하며 ,턱[頤]이 보고서(길러짐을 보고) 스스로 입에 담겨있는 물건(인재)을 구한다 山雷頤 火雷噬嗑 ☶ ☲ ☳ ☳ 위 아래 ⚊는 윗턱 아래턱 / 중간⚊은 장애물 / ⚋은 음식물을 나타냄 山雷頤는 養也 덕성을 기른다 火雷噬嗑은 罪刑法定主義 |
《彖》曰:頤貞吉,養正則吉也。觀頤,觀其所養也。自求口實,觀其自養也。天地養萬物,聖人養賢以及萬民,頤之時大矣哉! 이괘는 올바르게 길러서 길이 변함이 없으면 길하리라 이는 먼저 무엇을 기를 것인가를 잘 살펴서 그 원칙이 정하여지면 그것에 좇아 스스로 길러야 할 바를 생각하여 자신에게 영양이 될 수 있는 것을 찾아 노력할 것이다 천지는 만물을 기르고 성인은 어진이를 길러 그 교화가 만민에게 미치게한다 기른다는 일이 실지로 행하여지는 그때야말로 위대한 때인 것이다 공자 – 72賢 석가 – 500羅漢 예수 - 12弟子 |
《象》曰:山下有雷,頤,君子以慎言語,節飲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산 아래에 우레가 있음이 이(頤)이며, 군자가 그로써 말을 조심하고 음식을 절제한다.“ ★齊나라 孟賞君이야기 – 닭울음 소리 흉내 잘 하는 하인도 대우 秦나라 函谷關 函谷關은 깊은 골짜기가 벼랑 위 수목이 햇빛을 가려 낮에도 어두우며, 그 모양이 함 (函)처럼 깊이 깎아 세워져 있어 이름이 지 어졌다. 함곡관은 전국시대 진(秦)에서 산동(山東) 6국으로 통하던 관문이며, 험하기로 유명하여 '천하제일험관(天下第一險關)' 이라 불렸다. 진나라 효공(秦孝公) 때 세워진 함곡관은 당시 넓이가 마차 한 대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여서 중국에서 "一夫当关,万夫莫开 (한 명만 지키면 누구도 통과 못한 다)"라는 말이 생겼다 关(關) 开(開)의 간체자 ⮡➀웃음소(笑의 고자) ➁관계할관 문빗장관 莫 불가할막/ 없을막 이러한 난공불락의 함곡관에 얽힌 이야기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제(齊)나라의 맹상군(孟嘗君) 이야기다. 전국시대 4공자(公子:제후 또는 세도가의 자제)의 한 사람으로 불렸던 제나라 맹상군은 각 방면의 재능만 있다면 빈부귀천을 가리지 않고 다 포용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사신의 임무를 띠고 진나라에 갔던 맹상군은 모함에 빠져 서둘 러 진나라를 탈출하는데, 반드시 함곡관을 거쳐야만 했다. 그러나 때는 한밤중 으로 관문이 닫혀있었다. 위기에서 맹상군을 구해낸 것은 짐승의 울음소리를 잘 내는 식객이었다. 그가 닭 우는 소리를 내자 근처에 있는 닭들이 따라 울고, 문지기는 새벽이 온 줄 알 고 관문을 활짝 열었다. 여기서 하찮게 여기는 재주가 크게 쓰이는 경우를 빗대 쓰는 말 계명구도(鷄鳴狗盜)와 ' 함곡계명(函谷鷄鳴:함곡관에서 거짓 닭이 울 다)'이란 말이 생겼다. |
初九,舍爾靈龜,觀我朵頤,凶。《象》曰:觀我朵頤,亦不足貴也。朵 늘어질타
爾너이,我나아(대칭) 亦不足貴也 (귀한 일이 못된다)
(너의 신령스런 거북이를 버리고 나의 늘어뜨린 턱을 보면 흉하다)
초구(初九)는 자기의 훌륭한음식을 버리고 남의 밥에 콩이 굵다고 넘겨다본다 잘하는 노릇이 못된다
六二,顛頤,拂經于丘,頤征凶。어긋날불 《象》曰:六二征凶,行失類也。 양육의 도리를 顚倒하여 아랫사람에게 길려지려니 상도에 어긋나고 함부로 높은 곳에서 길러지기를 바라고 나아가면 同類를 잃고 고독하게 되어 흉하리라. |
六三,拂頤,貞凶,十年勿用,无攸利。 《象》曰:十年勿用,道大悖也。 어그러질패 실력이 없으면서 높은 지위에 있어서 녹봉을 받음은 나라가 어진이를 기르는 도리에 어긋난다 이러한 어긋난 도리를 계속하여 고치지 아니하면 흉하리라 십년을 지나도 아무런 효용이 없다 나아가면 해로울 뿐이다 |
六四,顛頤,吉。虎視耽耽,其欲逐逐,无咎。 노려볼탐. 《象》曰:顛頤之吉,上施光也。 .순서를 전도하여 아랫사람에게 길러진다 그러나 위에서 크게 은택을 베풀고 있기 때문에 길하다 호시탐탐한 태도로 영양을 구하는 욕망을 추구하여도 허물이 없다 |
六五,拂經,居貞吉,不可涉大川。 《象》曰:居貞之吉,順以從上也。 常道에 어긋나기는 하나 유순한 마음으로 위에 순종하여 변함이 없으면 길하리라 大河를 徒涉함과 같은 위험하고 벅찬 일을 하여서는 안된다 ★5효는 왕자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인 바 이러한 지위에 음효가 있음은 상도에 어긋나는 일이다 6효가 양효이고 또 윗 지위에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유순한 태도로 순종하면 길할 것이라고 풀이함 |
上九,由頤,厲吉,利涉大川。 《象》曰:由頤厲吉,大有慶也。 만민이 그의 힘에 말미암아 길러진다 책임이 중하고 고난이 있으나 길하다 나라에 큰 경사가 있으리라 大河를 徒涉함과 같은 크고도 위험이 있는 일을 수행하여도 순조롭게 수행될 것이다 |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