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4-01入公門,鞠躬如也,如不容.
入公門하실새 鞠躬如也하사 如不容이러시다
공문에 들어가실새 몸을 구부리사 용납하지 못하는 것같이 하더시다.
鞠躬曲身也公門高大而若不容敬之至也
鞠躬은 曲身也ㅣ라 公門은 高大而若不容은 敬之至也ㅣ라
국궁은 몸을 구부림이라. 공문은 높고 큰데도 용납하지 못하는 것처럼 함은 공경의 지극함이라.
10-04-02立不中門,行不履閾.
立不中門하시며 行不履閾이러시다
섬에 문 가운데에 아니하시며 감에 문턱을 밟지 않더시다.
閾 : 문턱 역, 문지방 역
中門中於門也謂當棖闑之間君出入處也閾門限也禮士大夫出入公門由闑右不踐閾謝氏曰立中門則當尊行履閾則不恪
中門은 中於門也ㅣ니 謂當棖闑之間이니 君出入處也ㅣ라 閾은 門限也ㅣ라 禮에 士大夫ㅣ 出入公門에 由闑右하고 不踐閾이라 謝氏 曰立中門則當尊이오 行履閾則不恪이라
중문은 문에서 가운데이니 문설주와 문지방 사이에 해당하니 인군이 출입하는 곳이라. 역은 문의 경계(문턱)라. 『예기』에 사대부가 공문을 출입함에 문지방 오른쪽으로 말미암고 문턱을 밟지 아니했느니라. 사씨 가로대 문 가운데 서면 높음에 해당하고 다님에 문턱을 밟으면 정성이 없음이라.
棖 : 문설주 정 闑 : 문지방 얼 恪 : 정성 각
10-04-03過位,色勃如也,足躩如也,其言似不足者.
過位하실새 色勃如也하시며 足躩如也하시며 其言이 似不足者ㅣ러시다
위를 지나실새 빛이 변하는 듯하시며 발은 공경히 디디시며 그 말이 족하지 못하는(어눌한) 것 같더시다.
位君之虛位謂門屛之間人君佇立之處所謂佇也君雖不在過之必敬不敢以虛位而慢之也言似不足不敢肆也
位는 君之虛位니 謂門屛之間에 人君宁立之處니 所謂宁也ㅣ라 君雖不在나 過之必敬은 不敢以虛位而慢之也ㅣ라 言似不足은 不敢肆也ㅣ라
위는 인군의 빈 자리이니 문과 병풍의 사이에 인군이 머물러 선 곳이니 저라 이르는 바라. 인군이 비록 있지 아니하나 지남에 반드시 공경을 함은 감히 빈자리라고 하여 거만하지 않음이라. 말이 족하지 못하는 것처럼 함은 (마음속에 있는 말을) 감히 베풀지 아니함이라.
宁 : 잠시 머무를 저
10-04-04攝齊升堂,鞠躬如也,屛氣似不息者.
攝齊升堂하실새 鞠躬如也하시며 屛氣하사 似不息者ㅣ러시다
옷깃을 여미고 당에 오르실새 몸을 굽힌 듯하시며, 기운을 감추사 숨을 쉬지 못하는 것같이 하더시다.
攝摳也齊衣下縫也禮將升堂兩手摳衣使去地尺恐躡之而傾跌失容也屛藏也息鼻出入者也近至尊氣容肅也
攝은 摳也ㅣ라 齊는 衣下縫也ㅣ라 禮에 將升堂할새 兩手摳衣하야 使去地尺은 恐躡之而傾迭失容也ㅣ라 屛은 藏也ㅣ라 息은 鼻息出入者也ㅣ라 近至尊에 氣容肅也ㅣ라
섭은 걷어쥠이라. 제는 옷의 아래 꿰맨 자락이라. 예에 장차 당에 오를 적에 두 손으로 옷을 치켜 잡아서 지척을 거리함은 밟아서 기울어 넘어져 용모를 잃을까를 두려워함이라. 병은 감춤이라. 식은 코로 숨쉼에 들어오고 나감이라. 지존에 가까워짐에 기운과 용모를 엄숙히 함이라.
摳 : 추어올릴 구
10-04-05出,降一等,逞顔色,怡怡如也.沒階,趨進,翼如也.復其位,踧踖如 也.
出降一等하사는 逞顔色하사 怡怡如也하시며 沒階하사는 趨進翼如也하시며 復其位하사는 踧踖如也ㅣ러시다
나옴에 한 계단을 내려오셔서는 얼굴빛을 펴시사 기쁜 듯하시며 층계를 다 내려와서는 종종걸음으로 나감에 펄펄 나는 듯이 하시며, 그 위에 돌아와서는 공경하는 듯하더시다.
逞 : 펼 령, 즐거울 령 怡 : 기쁠 이
陸氏曰趨下本無進字俗本有之誤也○等階之級也逞放也漸遠所尊舒氣解顔怡怡和悅也沒階下盡階也趨走就位也復位踧踖敬之餘也○此一節記孔子在朝之容
陸氏 曰趨下에 本無進字어늘 俗本에 有之하니 誤也ㅣ라 ○等은 階之級也ㅣ라 逞은 放也ㅣ니 漸遠所尊에 舒氣解顔이라 怡怡는 和悅也ㅣ라 沒階는 下盡階也ㅣ라 趨는 走就位也ㅣ라 復位踧踖은 敬之餘也ㅣ라 ○此一節은 記孔子在朝之容이라
육씨 가로대 趨 아래에 본래 進자가 없거늘 속본에 있으니 그릇됨이라. ○등은 층계의 급이라. 영은 풀어냄이니 점차 높은 곳이 멀어짐에 기운을 펴고 얼굴을 풂이라. 이이는 화열함이라. 몰계는 층계를 다 내려옴이라. 추는 달려가 위에 나아감이라. 다시 자리하여 축척함은 공경이 남음이라. ○이 한마디는 공자가 조정에 계실 적의 용모를 기록함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