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에서 쓰는 용어 모음
-Social Networking Service 사회적인 연결망 제공
⛴⛴종류
⚉ Facebook -
⚉ Youtube
⚉ Naverblog
⚉ Twitter -5 대 SNS 140자 → 280자로 확대 (韓 中 日은 140자로 제한)
선 텍스트 | 이미지 |
후 이미지 | 텍스트 |
유튜브와 알고리즘이 유사 관심사 중심 기반 |
사람과의 관계중심의 알고리즘 사람 중심 기반 |
⚉ Kakaostory
⚉ Tiktok – 3∼15(60)초 길이의 짧은 음악이나 립싱크동영상을 쉽게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능제공
⚉ Podcasts(팟개스트) - Voice Contents
⚉ Whatsapp(왓츠앱) - Mobile Messanger
⚉ Pinterest – 사진자체가 소통을 위한 도구이자 주제다 (Instagram의 사진은 소통을 위한 도구일 뿐)
⛵⛵ 용어
⚉ Follow → 따라가다/내가 관심있는 사람의 SNS계정을 추가하는 것(뒤를 잇다)
⚉ Follower → 추종자 신봉자 팬 따르는 사람 나를 구독하는사람 (즉 팔로우한 사람
⚉ Following → 팔로우를 하는 자체 (상대를 따름)
⚉ Unfollow → 언팔 (팔로우를 취소하는 것)
⚉ 선팔 → 먼저 팔로우 하는 것
⚉ 맞팔 → 서로 팔로우 하는 것
⚉ 인플루언서 → SNS에서 팔로워의 수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사람 =파워블로거
⚉ 피드 – <먹이를 주다>는 뜻 / 사용자에게 볼 수 있도록 공유
인친(인스타그램 친구)들의 소식이 올라오는 곳 (홈)
⚉ 블로그 – Web + log(일기) / 내가 원하는 기록을 남길수 있는 웹사이트
⚉ 스킨 – 블로그에 사용하는 디자인 (옷을 의미)
⚉ 템블릿 – 블로그의 기본 구성 형식 (글쓰기양식)/ 미리 작성된 틀을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는 양식
⚉ 위젯 – 블로그 이용자가 블로그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모아둔 도구모음
웹사이트를 통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미니응용프로그램
작은 이미지를 넣은 배너<광고그림>
⚉ DM – Direct Message (Instagram Twitter 등에서 사용하는 Messanger)
댓글을 다는 것보다 개인적으로 할 말이 있을 때
⚉ Social Media –인터넷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 서비스를 통칭할 때
⚉ Hashtag – 게시물의 관심사 혹은 주제를 #라는 기호로 사용하여 표현
해시태크의 양으로 이 단어의 요즘 인기가 있다 없다를 알 수 있다
⚉ GPS – Global Position System (자동 위치파악 추적 시스템)
⚉ WiFi – Wireless Fidelity (무선 / 정확성)
⚉ 포스팅(발행) - 글과 이미지를 블로그에 업로드 하는 것
⚉ 발행 – 글이 나의 블로그에 공개
⚉ 업로드 – 자료전송 / 파일올라가는 것 (소 PC ⇨ 대 PC)
⚉ 다운로드 – 파일내려받는 것 (대 PC ⇨ 소 PV)
⚉ 업그레이드 – 향상 (古버젼 ⇨ 새 버전)
⚉ 업데이트 – 보완 (최신 정보로)
⚉ 호스트 – 중심이 되는 PC (호스트에 업로드 권한)
⚉ 배너 - 광고
⚉ 최적화 – 검색시 최장단에 뜨는 것
⚉ 트래픽 – 일정시간내에 흐르는 정보의 이동량 (서버의 접속량이 많이 늘어 나는 것)
⚉ 모통검 - 모바일통합검색
⚉ 번외 – 줄임말목록 (서이추-서로이웃 / 공댓글-공간 댓글 체류)
⚉ 태그(꼬리표) – 검색할 때 필요한 단어
⚉ 비댓 – 비밀댓글
⚉ 일방/ 전방 – 일일방문자/ 전체방문자
⚉ 스크랩 – 타인의 글을 나의 블로그에 퍼 오는 것
⚉ URL – 인터넷주소 (파일이 위치한 곳)
⚉ CCL – 저작권 / 자유이용허락표시제 Greative Common License
⚉ 브라우저 – 정보를 볼 수 있도록하는 응용프로그램
예) 크롬(구글) 익스플로러(마이크로소프트) 사파리(애플)
⚉ 모먼트 – 인스타 릴스와 비슷 / 네이버의 동영상
⚉ Reels – 모바일에서 1분만에 만드는 숏동영상에디터 (동영상편집)
⚉ 탭 - 브랜드
⚉ 썸네일 – 포스팅에 사용하는 대표 이미지
⚉ 지수 – 블로그나 포스팅의 레벨
⚉ 웹 – World Wide Web(거미집)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