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exagram 18.고괘(蛊卦)[卦象:산풍고]
Decay Spoiled 부패 붕괴
부패괘이자 개혁의 괘
바람이 산에서만 부는 현상 – 유통안돼 썩음 (내부분란)
武王 사후 成王이 어려 숙부인 周公이 섭정함
☶艮上 ☴巽下 진[風.바람]이 아래에 있고, 간[山.산]이 위에 있다.
☶
☴ |
不事王侯,高尚其事。 干父之蛊,用誉。 裕父之蛊,往见吝。 干父之蛊,小有悔,无大咎。 干母之蛊,不可贞。 干父之蛊,有子考,无咎;厉终吉。 |
산풍고괘(山風蛊卦) 재해석 蛊:元亨,利涉大川;先甲三日,后甲三日。 (적폐를 청산하는) 일 : 크게 형통함. 큰 강을 건넘이 이롭다(국가적 대사를 실행함이 이롭다). 일을 시작하기 전 3일과 일을 시작하고 나서 3일을 신중히 하다(대사를 실행함에 그 전후를 면밀하게 살핀다). 蠱 - 쟁반위에 벌레가 우글거린다 부패 ❣❣❣참고 先甲三日, 甲 後甲三日 문제원인을 깊이 생각 시작 여파 및 후속방안을 곰곰이 따져본다 辛 壬 癸 乙 丙 丁 가 겨 겨 봄 여 여 을 울 울 름 름 西 北 北 東 南 南 金 水 水 木 火 火 (辛壬癸)甲 乙丙丁 戊己庚 辛壬癸 - 갑을 기준으로 볼 때 뒤 3일은 乙 丙 丁앞 3일은 辛 壬 癸《彖》曰:蛊,刚上而柔下,巽而止,蛊。蛊元亨,而天下治也。利涉大川,往有事也。先甲三日,後甲三日 ,终则有始,天行也。 ‘단’에서 말했다. ‘강강한 것은 위에서 높이 있고 유순한 것은 아래에 있어서 낮은 체하고 있을 뿐 上下相交 함이 없고 협조함이 없다 그러므로 나라안에는 어려운 일들이 일어난다 혼란과 부패와 天變地異등이 겹친다 그러나 곧 크게 형통하여 천하가 잘 다스려지고 발전 번영하리라 大河를 徒涉함과 같은 결심과 용기를 내어 적극적으로 위안을 극복하며 전진함이 좋다 사물의 이치는 항상 변화한다 궁극에 도달하면 새로운 것이 시작되는 것은 자연의 운행법칙인 것이다 《象》曰:“山下有风,蛊;君子以振民育德。 상에서 말했다. 산 아래에서 바람 부는 것이 고괘이니 군자는 이로써 덕을 길러서 백성을 거두라(구휼하라) . 初六,幹父之蛊,有子考,无咎;厉终吉。《象》曰:“干父之蛊”,意承考也。 초육, 아버지의 難事를 맡아서 처리한다 아버지의 뜻을 이어받아서 처리하는 훌륭한 아들이 있으면 아버지는 허물이 없으리라 곤란과 위험이 있을지라도 마침내는 길하리라 . 九二,干母之蛊,不可贞。《象》曰:“干母之蛊”,得中道也。 구이, 어머니의 難事를 맡아서 처리한다 중용의 고리를 지켜 지나친 과격한 행동을 피하고 임기 응변하는 융통성있는 처리를 하라 원칙만 고집하는 고집불통이 되어서는 안된다 干은 幹의 간체자 幹 : 주관할간 . 九三,干父之蛊,小有悔,无大咎。《象》曰:“干父之蛊”,终无咎也。 구삼, ‘아버지의 難事를 맡아서 처리한다 지나친바 있어 조금 후회됨이 있다 그러나 마침내 큰 허물은 없으리라 . 六四,裕父之蛊,往见吝。《象》曰:“裕父之蛊”,往未得也。 육사, 아버지의 難事를 그대로 보고만 있다 어떻게 애써 처리해 보려 해도 뜻대로 되지 않는다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는 곤경에 빠진다 . 六五,干父之蛊,用誉。《象》曰:“干父用誉”,承以德也。 육오, 아버지의 難事를 맡아서 처리한다 盛德으로서 아버지의 뜻을 이어 받으니 크게 성과를 거두어 칭찬을 받는다 . 上九,不事王侯,高尚其事。《象》曰:“不事王侯”,志可则也。 상구, 왕후에게 벼슬하지 아니하고 일신을 고결하게 가지니 그 뜻 모범으로 할 만 하다 . ★★★★★ 상에서 말했다. ‘왕후를 섬기지 않는다’ 함은 뜻이 준칙이 됨이다. 산풍고괘(山風蠱卦)는 우리말로 번역하기가 쉽지 않은 괘 가운데 하나이다. 역자마다 조금씩 다르고, 번역문을 읽어도 무슨 말인지 선뜻 이해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독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그래서 약간의 해설을 붙여 보겠다. 이 해설이 필요함은 중국인이나 우리나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수많은 ‘역전(易傳)’이 나왔다. 그렇다고, 통일된 안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저마다 번역과 해석이 다르다. 그래서 더욱 주의 깊게 읽어야 한다. ‘蠱(고)’의 의미는 ‘일(事)’은 일이로되 천하를 다스리는 통치자의 정사(政事)를 말한다. 이런 판단의 근거는 ‘고괘(蠱卦)가 형통하다는 것은 천하를 다스림에 있다’라는 단사(彖辭)에 있다. 그것도 효사(爻辭)에 나타난 것처럼 선대(先代) 곧 아버지나 어머니가 해온 대사(大事)·대업(大業)·유업(遺業) 등에 대하여 처리하는 일이다. 그래서 ‘先甲三日 後甲三日’이라는 답이 괘사(卦辭)로서 제시되었다. 여기서 ‘선갑삼일 후갑삼일’이 란 대사(大事)를 처리 결정하기 전에 현상을 세심히 살피고, 사태를 분석하여 신중하게 함이고, 대사를 추진한 뒤에는 그 결과나 영향 등을 면밀하게 분석 평가하여 신중히 한다는 뜻이다. 처리해야 할 대상으로는 ‘아버지의 일(父之蠱)’과 ‘어머니의 일(母之蠱)’이라는 말로 효사에서 표현되었지만, 이 두 가지 일은 꼭 두 가지의 일만이 아니라 선대(先代)에서 추진해 온 일이 될 것이다. 그런데 일 ‘事’나 ‘遺業’이란 글자를 쓰면 되는데 그렇지 않고 굳이 ‘蠱’라는 글자를 사용했다. 여기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을 것이다. ‘蠱’의 함의를 고려하면 좋지 못한 일이다. 독기(毒氣)가 어려 있고, 곡물 속의 벌레처럼 해를 끼치 는 일이다. 그래서 이 고(蠱)를 두고 부패(腐敗)니 적폐(積弊)니 말을 하는 것이다. 일은 일이로되 과거 선대(先代)의 일이고,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바람의 길을 막는 장애물(障碍物)이 된 산처럼 높이 쌓인 일이다. 무언가 의욕을 갖고 새롭게 나아가고자 하는 바람(風:하괘)인 새 통치자에게 산(山:상괘)이 되어 앞을 가로막고 있는 상황이 고괘(蠱卦)이고, 그런 상황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를 설명한 것이 육효사(六爻辭)라고 보면 틀리지 않는다. 육효사(六爻辭)의 핵심인즉 ‘깊이 헤아리고(考, 意)’, 필요하면 계승(繼承)하며,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중지를 모아 신중하게 처리하되 자신의 명예와 지위를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버지의 일과 어머니의 일을 주관하고 담당하여 처리한다는 의미로 ‘幹(간)’과 ‘裕(유)’라고 하는 두 글자가 쓰였는데 이 두 글자의 차이를 분별해야 한다. 幹(간:干은 간체자)은 ‘주관하다’, ‘담당하다’로, 裕(유)는 ‘받아들이다’, ‘용납하다’로 해석하면 틀리지 않는다. 그리고 ‘깊이 헤아린다’라는 의미로 ‘考(고)’와 ‘意(의)’ 가 쓰였음을 확인하고 그 함의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