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천자문(千字文)-66 책공무실(策功茂實) 륵비각명(勒碑刻銘)
策 | 功 | 茂 | 實 |
꾀책(謀 籌策) 셈놓을주 모략할주 채찍책(馬箠채찍추) 시초책(龜策) 잎떨어지는 소리책 (落葉聲) 쇠지팡이책(金策 錫杖) 별이름책(星名) 竹 |
공로공 공공(勞之績) 공치사할공(功之) 복입을공(喪服) 일할공(事也) 사업의공로공(功績) 이용할공(利用) 力 |
무성할무 성할무 풀우거질무(盛) 아름다울무(美) 힘쓸무(勉) 艸 |
열매실(草木子) 넉넉할실(富) 참스러울실(誠) 사실실(事跡) 믈건실(物品) 실상실(名實) 충실할실(充實) 宀 |
공적을 기록하고 실적에 힘쓰게 해 책공-記績曰策功(공적을 기록) 무실-茂實懋實也(실적에 힘씀)-힘쓸무 書經 尙書에 惟王德懋懋官(茂많을무) 왕께서 덕많은 사람에게 벼슬을 주었고 功懋懋賞 (務힘쓸무) 공 힘쓴 사람에게 상을 내렸다 ✱秦始皇부터 시작 –행적의 발자취를 돌에 새김 (金石文) |
|||
勒 | 碑 | 刻 | 銘 |
굴레륵(絡銜)얽을락 자갈륵 새길륵(刻) 억지로할륵(抑) 엄중할륵(嚴重) 정돈할륵(整頓) 力 |
비석비 비비 石 |
새길각(鏤 새길루) 몹시각(痛) 긁을각(割剝) 시각각(晷刻) 시각귀 그림자귀 刀 刂 |
새길명(刻以識事) 기록할명(記誦) 金 |
그 공적은 비에 새겨 비석을 세웠도다 勒碑-비석에 문장을 새김 刻銘-금석에 銘을 새김 勒-馬頭絡銜 - 연락할락(얽힐락) 재갈함 진흥왕 巡狩碑 (巡幸碑) -- 金石文 巡狩(巡幸) ⇨임금이 나라안을 두루다니면서 살피던 일 巡行 ⇨ 이곳 저곳 돌아다님 비석이 아니고 碑碣 (비 - 네모모양의 비 갈 — 둥근모양의 비) 비의종류 - 石碑 鐵碑 贔屭 - 비석의 돌받침이 거북모양 머리는 용 홍수가 날 때 거북이가 비갈을 지고 산으로 올라가서 보호하라는 뜻 불을 삼키는 離龍 (離는 주역의 卦를 보면 火에 해당하는 괘) 돌이 불에 의해 약해지지 말라는 뜻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