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기론(理氣論)
理氣一元論 ⇨ 主氣論
나흠순(明) 李珥 1536
理氣不相雜 (혼동)
先後 / 理기 氣를 낳다고 불인정
理氣二元論 ⇨ 主理論
朱熹(宋) 이황 1501
理氣不相離 (나눔)
先後 / 理가 氣를 낳다고 인정
그러나 모두 서로 분리 될 수 없음을 강조
理→ 본체의 세계 정신적 주관적 태극 士 男 天 陽
氣→ 현상의 셰계 물질적 객관적 음양 민중 女 地 陰
**우리나라는 一元論으로 結論
지배계층(理:양반)과 피지배계층(氣:민중)과의 싸움에서 피지배층이 승리
즉 원인과 결과 사이에 시간이 개입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위치가 바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