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才不用 - 皇澤이야기
어느 날 공자가 수레를 타고 길을 가는데 어떤 아이가 흙으로 성을 쌓으며 놀고 있었다. 그런데 수레가 가까이 가도 아이는 비켜줄 생각을 하지 않았다.
“애야, 수레가 지나갈 수 있도록 길을 비켜 주겠느냐?”
그런데도 아이는 쭈그리고 앉아 하던 놀이를 계속 했다.그러고는 이렇게 말했다.
“수레가 지나가도록 성을 비켜야 합니까? 아니면 수레가 성을 비켜 지나가야 합니까?”
아이의 말에 공자는 똑똑한 녀석이라고 생각하며 수레를 돌려 지나가려 했다.
그러다가 아이에게 이름과 나이를 물었다. 그러자 이름은 황택이며 나이는 8살이라 했다.
이에 공자는 한 가지 물어 보아도 되겠느냐. 그러고는 바둑을 좋아하느냐고 물어보았다.
그러자 황택은 이렇게 말했다.
“군주가 바둑을 좋아하면 신하가 한가롭고, 선비가 바둑을 좋아하면 학문을 닦지 않고, 농사꾼이 바둑을 좋아하면 농사일을 못하니 먹을 것이 풍요(豐饒)롭지 목하게 되거늘 어찌 그런 바둑을 좋아 하겠습니까?”
아이의 대답에 놀란 공자는 한 가지 더 물어도 되겠느냐 하고는
“자식을 못 낳은 아비는 누구냐?”라고 묻자 아이는
“허수아비”라고 대답했다.
그러면 “연기가 나지 않는 불은 무엇이냐?”
“반딧불이 입니다.”
그러면 “고기가 없는 물은 무엇이냐?”
“눈물입니다.”
아이의 거침없는 대답에 놀란 공자는 입을 다물지 못했다.
그 순간 아이가 벌떡 일어서며 “제가 한 말씀 여쭤도 되겠습니까?”하고 말했다.
공자가 그렇게 하라고 이르자 아이는 이렇게 물었다.
“아주 추운 겨울에 모든 나무의 잎들이 말라 버렸는데 어찌 소나무만 잎이 푸릅니까?”
공자는 잠시 생각하다가 “속이 꽉 차서 그럴 것이다,”하고 대답했다.
그러자 아이가 다시 물었다.
“그렇다면 속이 텅 빈 저 대나무는 어찌하여 겨울에도 푸릅니까?”
그러자 공자는 “그런 사소한 것 말고 큰 것을 물어 보아라.”했다.
그러자 아이가 다시 물었다. “하늘에 별이 모두 몇 개 입니까?”
“그건 너무 크구나.”
“그럼 땅 위의 사람은 모두 몇 명입니까?”
“그것도 너무 크구나.”
“그럼 눈 위의 눈썹은 모두 몇 개입니까?”
아이의 질문에 공자는 아무런 대답을 하지 못했다.
공자는 아이가 참 똑똑하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아이를 가르쳐 제자로 삼고 싶다는 생각을 잠시 했다.
하지만 공자는 아이가 머리는 좋으나 덕(德)이 부족해 궁극에 이르지는 못할 것이라는 사실을 내다 봤다. 그리하여 부채로 얼굴을 가리고 다시 수레에 올라, 가던 길을 계속 갔다.
실제로 황택의 이름은 그 이후 어디에서도 보이지 않았다. 그의 천재성은 8살에서 끝이 나고 말았던 것이다.
사람들은 머리로 세상을 산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머리가 세상에 미치는 영향보다 가슴이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크다. 그러므로 머리에 앞서 덕(德)을 쌓고 덕으로 세상을 살 수 있도록 하자.
훌륭한 사람이 된다는 것은 천재성도 중요하자만 그 위에 인간의 본성인 선(善)을 베풀 줄 아는 사람이 많아야 개인이나 국가의 미래가 번영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