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천자문(千字文)-4 윤여성세(閏餘成歲) 율려조양(律呂調陽)
字 | 字義 | 部首 | 備考 |
閏 | 윤달윤 |
門 | 한해시작 하- 10월 은- 12월 주- 11월 |
餘 | 남을여(饒) 나머자여(殘) 끝여(末) 나라이름여(扶餘) |
食 | 孫子항렬 我 子⇨손⇨曾孫⇨玄孫⇨來孫⇨昆孫 ⇨仍孫⇨雲孫⇨ 9대손 |
成 | 이룰성(就 . 畢) 평할성(平) 거듭성(重) 마칠성(終) 될성(爲) 화목할성(睦) |
戈 | |
歲 | 해세(年) 곡식익을세(穀成) 일년세(周年) 새해세(新年) 풍년세(豊) 나이세(年齡) 절후세(時候) 세월세(光陰) |
止 | 年-음력의 한해를 의미 歲-양력의 한해를 의미 |
四字解說 | 윤달이 남아 해를 이루고 一歲=12朔 24節氣 32달이면 29일이 남음 이로서 윤달을 두고 四時를 정하고 해를 이룬다 書經-朞(돐기)三百有六旬有六日 以閏月 定四時成歲 書經의 일년은 366일 3년에 1번 8년에 2번 평년354 윤년384 또는 383 1朔望月 29,5305일 |
字 | 字義 | 部首 | 備考 |
律 | 법칙률 풍류율(律呂) 지을율(述) 저울질할율(銓) |
彳 | 津-나루진 陳-벌릴진 陣-진칠진 皇帝가 신하 伶倫에게 소리를 짓게함 봉황울음소리를 듣고 竹으로 6律 - 홀수월 (양)-봉황의 수컷울음소리 서양음악의 장조 경쾌 활기 흥취 |
呂 | 법칙려 음률여 풍류여(音律) 들골뼈려(脊骨) 성려(姓) 종이름려(鐘名) 칼이름려(刃名) |
口 | 6呂 - 짝수월(음)-봉황의 암컷 울음소리를 6개로 나눔 서양음악의 단조 애조 조용 애수 |
調 | 고를조(和) 부드러울조(柔) 맞을조(適) 비웃을조(嘲) 나뭇잎흔들거릴조(木葉動貌) 구실조(戶) 가릴조(選) 곡조조 가락조(音-樂律) 재주조(才) 계교헐조(計) 아침조(調飢) |
言 | 양나라 昭明太子소통이 지은 文選 魏都賦에서 寒谷豊黍 吹律以暖之也 원래 조양이라는 두 글자는 調陰陽이라고 했어야 옳다 그러나 3자로 해서는 안될 자리여서 陰자를 생략한 것이다 |
陽 | 볕양 해양(日) 밝을양(明) 거짓양(佯) 양양할양(自得) 환할양(文章貌) 양기양(陽氣) 봄양(春陽) 양지쪽양(山南水北) |
阜 阝 | |
四字解說 | 율과 여로 음양을 調理함 음양의 변화를 다른 말로 動靜 動은 律動 靜은 呂靜 律呂는 천지의 음양조화 고대 음악의 樂律 音律에는 12율 홀수월은 律 짝수월은 呂 율은 음에 있으면서 양을 다스리고 여는 양에 있으면서 음을 다스림 六律은 陽 六呂는 陰 (12가지 소리로 음양을 조화롭게함) 율려조양- 각각 4계절에 응하는 곡조를 써 음양의 기운을 조정 聲 - 단순히 루리 귀에 들리는 소리 音 - 聲에 일정한 고저 장단이 加味 樂 - 音에 歌舞가 합쳐진 것 음악-현대는 문화의 한 부분 고대는 정치의 한 부분 고대음악 – 지금의 Opera(종합예술형식)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