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천자문(千字文)-3 한래서왕(寒來暑往) 추수동장(秋收冬藏)

by 20h20h 2023. 8. 18.
728x90
반응형

천자문(千字文)-3 한래서왕(寒來暑往) 추수동장(秋收冬藏)

字義 部首 備考
찰한 추울한 () 떨릴한(戰慄)
뼈에사무칠한() 쓸쓸할한()
가난할한() 추워서얼헌()
겨울한() 그만둘한()

올래() 돌아올래()
부를래() 부터래()
보리래() 오대손래()
(보리)
지레복괘

더울서 더위서()
여름철서()

-조선시대 테니스가 들어옴
양반왈 땀흘리는 것을 보고 왜 힘들게 고생할까? 아랫것들 시키지 않고!!
갈왕() 옛왕()
이따금왕(時時) 향할왕()

천풍구괘

四字解說 자연의 질서와 순환
추위가 오면 더위가 가고
상고시대에는 공자의 春秋에서 보다시피 여름 겨울이란 단어가 없었다고 함(훗날생김)
周易에는 暑往寒來 운을 맞추기 위함
고대중국의 기후의 신
바람(風伯) (雨師) 구름(雲師) 우레(雷師) 번개(電母) 가뭄()
고대중국의 계절의 신
(句芒) 여름(祝融) 가을(蓐收) 겨울(玄冥)
1년의 계절을 말하는 것



 

字義 部首 備考
가을추
세월추(歲月) 성추() 때추()
-는 여름의 햇볕을 뜻함
인생의 장년시대
이때 저축해야 말년의 생활이 안정
거둘수 거두게할수() 모을수()
잡을수() 쉴수()
정돈할수() 추수할수()
() 천지의 기운이 엄숙해지며 거두어진다
겨우동 겨울지낼동(過冬)

=(뒤져올치)+(얼음빙)

감출장()
장풀장(似薍草名) -갈대완
곳집장()

모든 양기가 땅속으로 들어가 閉藏된다는 뜻
四字解說 정착생활의 시작
가을에는 거두고 겨울에는 저장한다
천지 기운의 움직임을 말함 (천지자연의 질서)
文-사물의 본래 모습
(象形文字)- 日 月 山 -사물모양
(指事文字)- 上 下 -추상적 개념
字-새끼를 낳아 젖을 먹여 기르듯이 차츰 알아지는 것
사마천의 사기 太史公自序夫春生夏長 秋收冬藏 此天道之大經也 弗順 則無以爲天下紀綱
반고의 예기 樂記春作夏長 仁也 秋斂冬藏 義也
                     ↳ 6= 시 서 역 예 춘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