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論語)의 짜임>>
Prologue -논어 입구에서
논어를 처음 접했던 먼 국민학교(초등학교) 시절이 생각난다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읽었던 논어, 그때 서당 훈장님은 사회과부도 크기의
창호지에 인쇄된 두꺼운 논어책에 토(구결자)를 달아서 가르쳤다.
그래서 토가 생소하지는 않지만 아련할 뿐이다
몇 십년이 지난 지금 學而時習이라 해도 될지 모르겠다
音譯字와 口訣字
音譯字
음역자란 한자들을 합하거나 한자와 한글 자음을 합하는 등의 방식으로 어떤 한글 음을 나타내는 한자를 만들어 내는 것
예}돌쇠 - 突衰로 나타낼 수도 있었겠지만
그냥 한글로 돌쇠이니 乭이라는 글자를 쓰고 쇠는 金이니 乭金으로 쓰고 돌쇠로 읽었다
여기서 乭이 음역자이다
임걱정- 林巪正 : 巪이 음역자
口訣字
口訣字란 한문 문장에서 구두점을 찍을 곳에 붙이던 약호
한자의 특정부분을 빌려 한글의 음을 표기한 것
한문 문장의 이해를 돕고 읽기 편하게 하기 위하여 한문 구 절 아래에 달아 읽는 吐
예시}
丷 | 丷 |
つ | つ |
ㄱ | 氵 |
토(吐) | |
하 | 하 |
야 | 야 |
는 | 사 |
발음 | |
爲 | 爲 |
也 | 也 |
隱 | 沙 |
정자(正字) |
子曰,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吐 (口訣字 ) 子曰,學而時習之 丆 不亦說乎 牙 ?
史記世家 에 曰孔子ㅣ 名 은 丘요 字 는 仲尼 라
吐 (口訣字 ) 史記世家 曰孔子ㅣ 名 卩{ㄱ} 丘 字卩 仲尼 亽
吐(口訣)일람표
논어의 짜임
1 學而 - 배움
2 爲政 - 정치
3 八佾 - 예악
4 里仁 - 仁 道德律
5 公冶長 - 인물품평
6 雍也 - 공자의 제자들을 품평
7 述而 - 공자자신
8 泰伯 - 고대의 성왕들과 현인들의 이야기
9 子罕 - 공자의 언행
10 鄕黨 - 공자의 용모 태도 의식주
11 先進 - 문인들과 그 외의 인물평 (논어 전체를 상하로 나누는 경계)
12 顏淵 - 공자의 제자 제후들과의 대화 주로 정치-正과 率先을 이상형으로
13 子路 - 전반부-정치 후반부-성인 군자에 대한 문답
14 憲問 - 여러나라 사대부의 말
15 衛靈公 - 수신과 처세
16 季氏
17 陽貨
18 微子
19 子張
20 堯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