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천자문(千字文)-85 맹가돈소(孟軻敦素) 사어병직(史魚秉直)
20h20h
2024. 1. 11. 08:12
728x90
반응형
천자문(千字文)-85 맹가돈소(孟軻敦素) 사어병직(史魚秉直)
孟 | 軻 | 敦 | 素 |
맏맹(長) 첫맹(始) 힘쓸맹(勉) 클맹(大) 맹랑할맹 (孟浪不精要貌) 성맹(姓) 子 |
수레가 굴대가(車軸) 높을가(軻峨) 맹자이름가(孟子名) 車 |
도타울돈(厚) 힘쓸돈(勉) 다스릴퇴(治) 옥쟁반대(玉敦) 그림그린활조(敦弓) 攴 攵칠복 |
흴소-白也 바탕소 본디소(本) 빌소(空) 순색소(無色) 원소소(元素) 糸 |
맹자는 素性(바탕)을 敦篤히 하였으며 敦素-本性을 敦篤히 하다 敦素(천자문)=養素(蒙求) 맹자-성선설 인의로 정치를 해야 한다는 왕도정치 공자의 손자인 子思의 門人에게서 수업 시대는 전국시대로 전국7웅 할거-합종연횡으로 우왕좌왕시대 인간의 본성에는 소위 4단이 있다 4단-측은(인) 수오(의) 사양(예) 시비(智) 7정-喜怒哀樂愛惡欲 불교의 8正道 正見 正思惟 正語 正業(행위) 正命(생활) 正精進(노력) 正念(의식잊지않고) 正定(정신집중) |
|||
史 | 魚 | 秉 | 直 |
역사사(冊) 사기사 사관사(掌書官) 성사(姓) 口 |
물고기어 생선어(鱗虫總名) 좀어(蠹좀두) |
잡을병(把) 움큼병 벼묶음병(禾束) 열여솟휘병(十六斛) 휘곡-10말(헤아리다) 禾 |
곧을직(不曲) 바를직(正) 번들직(當直) 값치(物價) 目 |
史魚는 剛直하여 바름을 堅持하였다(올곧음을) 사어-춘추시대 衛나라 대부-호위할위 魏-위나라위 屍諫-시체로써 임금(靈公)께 간하여 정도를 걷게 한 사어는 直諫의 終決者 유언-시신을 창문아래 왕이 조상하러갔다 놀람 즉시 蘧伯玉을 上卿으로 등용 彌子瑕를 물리침 영공이 미자하를 퇴출시킬 때 질책-3不忠 -먹다남은 복숭아를 내게 먹게함 (나까지?) -과인의 수레를 사사롭게 탐 -刖刑 (효도?) -거백옥을 너로 말미암아 쓰지 못함 사랑과미움의변화-역린 미자하는 美男子로 총애를 빙자 정치를 휘두름 折檻의 고사(전한-성제-주운)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