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천자문(千字文)-8 과진이내(果珍李柰) 채중개강(菜重芥薑)

20h20h 2023. 8. 23. 05:49
728x90
반응형

천자문(千字文)-8 과진이내(果珍李柰) 채중개강(菜重芥薑)

과실과 열매과
실과과(木實)
감히할과() 과연과()
결단할과()
짐승이름과(獸名)
맺힐과(因果)
모실과(女侍)
보배진()
서옥진(瑞玉)
귀중할진(貴重)
맛좋을진(食之美者)
오얏이(果名)
선비천거할리(桃李薦士)
역말리(關驛)
행장리/보따리리(行裝)
-手荷物


능금나무내(果名)
벚내
사과내
어찌내()
붉은색()
과일중에는 오얏과 벚이 보배스럽고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과실나무 중에 오얏과 능금나무의 진미가 으뜸임을 말함
춘추시대 나라 王戎은 타인들이 종자를 널리 퍼뜨릴까봐 좋은 오얏품종 씨에 구멍을 뚫음
자두-紫紅色(자두) 靑綠色 黃綠色(오얏)
-어찌내    奈落(나락)-나락나    붉은색
진나라 강홍의 西京雜記에 보면
柰三 白柰 紫柰 綠柰
本草에는
芥處處有之 有靑芥 似菘배추숭   有毛味極辣 紫芥 莖葉純紫可愛 作齏最美   양념할제
겨자는 곳곳에서 난다 청개는 배추처럼 생겼는데 털이 났고 몹시맵다 자개는 줄기와 잎이 모두 자줏빛이 나서 보기에 예쁘다 이것으로 양념을 만들어 먹으면 맛이 있다
나물채()
반찬채()
무거울중(輕之對)
무겁개 여실중()
거듭중(複疊)
삼갈중()
두터울중()
두 번중()
높일중()
짐바리중(輜重치중)
가신위중(假神位)
겨자개
갓개(辛菜)
지푸라기개(草芥)
티끌개(纖芥)
(가늘섬 아낄섬)
생강강


누런색 ()
채소 중에 겨자와 생강을 소중히 여긴다
겨자-를 따뜻하게 하고 運行
생강-밝은 정신을 통하게 함
겨자는 가장 작은 씨앗-佛家에서는 사람의 마음을 비유
유해독성 제거 당시의 의약품으로 높이 평가
홍과 황으로 짝을 맞춤 (火 生 土)

 

 

 
728x90
반응형